[ET톡]매크로 대책 더 엄격해야

2025-11-16

매크로 프로그램은 반복적이거나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해 효율성을 높여주는 소프트웨어 도구다. 업무효율을 높이는 도구로만 사용된다면 좋겠지만 매크로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일반 시민과 기업에 해악을 주는 '공공의 적'으로 인식된다.

얼마 전 자동입력프로그램인 매크로를 이용해 헌법재판소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탄핵 반대 글을 무더기로 올려 접속 장애를 일으킨 혐의로 58명이 서울경찰청에 무더기 입건됐다.

또 대구경찰청은 매크로를 이용해 프로야구 경기 입장권을 대량 구매한 후 웃돈을 받고 판매한 남성을 붙잡아 국민체육진흥법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이 남성은 매크로를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대량으로 사들인 후 정가 대비 무려 800% 비싼 가격에 부정판매한 혐의를 받는다.

지난 2023년 매크로를 이용해 체육시설 이용권을 예약하고, 이를 차익을 남겨 거래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이 국회를 통과했고,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은 매크로 행위를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를 활용해 예약한 체육시설 이용권을 프리미엄을 붙여 다시 되파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이다

법이 시행되면서 매크로로 인한 해악을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생긴 셈이다. 하지만 매크로로 취득한 예약 건을 부정판매하는 행위를 단속하는 법만으로는 매크로 피해를 줄일 수 없는듯하다. 매크로 접근을 차단하는 솔루션이 시중에 나와 있지만 이것 역시 완벽하게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

매크로는 예약을 싹쓸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지 않는 고객이 피해를 본다. 사업장 역시 고객 불만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골칫거리다.

온라인 커뮤니티나 예약시스템에서 매크로를 이용하는 행위 자체가 사회적 공정을 해치고, 피해자를 양산하기 때문에 이를 더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 대다수 선량한 시민이 피해를 볼 수 있는 매크로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절실하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