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수출기업 맞춤형 서비스 제공

2025-09-09

대미 수출기업 설문조사 결과 발표 ···현장 중심 지원 확대

[충청타임즈] 미국 관세정책에 대해 국내 기업이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미국의 상호관세(8월 7일부터 15% 부과) 결정을 계기로 대미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관세정책 인식 및 애로사항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에 응답한 기업들은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수준은 알고 있다는 응답이 94.2%에 달했으나, 51.1%의 기업이 대응방안이 없다고 답했다.

수출기업들은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올해 대미 수출규모가 전년 대비 상당 부분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기업들은 미국 통관절차 중 가장 어려운 점으로 수출물품이 품목별 관세 또는 상호관세 부과 대상인지 여부 확인(66.3%), 비특혜 원산지 판정(11.1%), 품목분류(10.5%)를 꼽았다.

기업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 정책은 수출 금융지원(37.5%), 미국 통관정보 제공(28.6%), 통상분쟁 대응 지원(22.3%) 순이었다.

관세청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출기업이 미 통관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관세행정 지원방안을 적극 제공할 예정이다.

품목분류의 경우 한-미 품목번호 연계표에 품명을 병기해 활용성을 높리고, 미국 관세당국의 품목분류 사례를 모은 질의응답집을 제작·배포한다.

원산지 판정의 경우 미 관세정책 시행 이후 수출기업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에서 판정받은 원산지 사전심사 결정 사례를 분석해 관련 산업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아울러 미국 관세정책 대응을 지원하는 부처들과 통상환경 대응 합동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수출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청취할 예정이다.

/대전 한권수기자 kshan@cctimes.kr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