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개 아래로는 15위안이랍네다.”, “비싸다, 야”
지난 10일 오후 북한과 중국의 대표적인 접경도시인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에 위치한 신류(新柳) 시장에서 북한 말투를 쓰는 중년 여성 3명이 탁구공을 앞에 두고 이야기를 나눴다.
신류시장은 다양한 생필품을 판매하는 단둥의 대표적인 도매 상가다. 북한 노동자로 보이는 여성들은 탁구공을 이리저리 튀겨본 뒤 가격에 맘에 들지 않는 듯 자리를 떴다. 이미 손에는 다른 물건이 담긴 검은 봉지를 하나씩 든 상태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년 만에 방중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이후 양국 관계에서 훈풍이 불어오고 있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북한은 러시아에 파병을 하며 북·러가 밀착했다. 그러면서 북·중 관계는 자연스럽게 멀어졌다. 특히 수교 75주년이던 작년엔 고위급 인적 교류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이상 신호’도 꾸준히 제기됐다.
그러나 지난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김 위원장이 시 주석 옆자리에 서고 다음 날 북·중 정상회담까지 열리면서 언제 그랬냐는 듯 북·중은 관계를 회복했다.
중앙일보가 지난 9~11일 찾은 단둥시 곳곳에서 변화가 감지됐다. 신류시장의 한 상인은 “평일에만 찾아오던 예전과 달리 최근엔 주말에도 북한 고객이 크게 늘었다”면서 “한 번에 10여 명씩 찾아오곤 한다”고 말했다.

단둥과 북한을 잇는 압록강철교(중국 명칭은 중조우의교)도 분주했다. 오전 7시 40분쯤 화물열차가 북한으로 향했다. 모두 20개가 넘는 컨테이너가 줄줄이 매달렸다. 오전 9시부턴 화물을 가득 채운 대형 트럭도 연이어 강을 건넜다. 1시간 동안만 수십 대의 차량이 북한 땅을 밟았다.
이날 오후엔 대형 버스 5대가 중국으로 넘어오는 모습도 포착됐다. 노란색 중국 번호판을 단 차량이었다. 옆면엔 중국 여객회사 로고가 붙었다. 현재 북한은 공식적으로 외국인 관광을 금지한 상태다. 북·중 정상회담 이후 양국 교류·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중국 측 관계자들이 북한을 방문했을 가능성도 점쳐진다.
일반 관광이 재개될 움직임도 있다. 단둥역 2층엔 국제여객 열차용 대합실이 새로 마련됐다. 입구는 막혀 있었지만 전광판엔 ‘출입국 통로’라는 표시가 선명했다. 지난 7월엔 북한 국가관광총국이 운영하는 조선관광 사이트에 베이징·단둥행 여객열차 시간표도 올라왔다. 구체적 개통 시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10년 넘게 개통되지 않고 있는 신압록강대교에서도 의미 있는 장면이 포착됐다. 북한 측 지역의 7층짜리 건물이 최근 완공된 것이다. 세관이나 출입국 관리 등 업무에 쓰이는 건물로 추정된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3월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북한이 17만2500㎡(약 5만2000평) 정도로 추정되는 대규모 세관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교 위에선 인부들이 외벽 공사에 한창이었다. 인근 상인은 “며칠 전부터 공사를 하기 시작했다”면서 “9·3(전승절) 이후로 수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압록강대교는 2009년 10월 양국이 체결한 ‘경제기술 합작 협정’에 따라 건설일 시작했다. 착공 3년 만인 2014년 교량 건설을 끝내놓고서도 현재까지 개통되지 않았다.
이후 북·중 관계가 개선될 때마다 개통 가능성이 흘러나오는 곳이 됐다. 북측 건물 완공과 외벽 공사는 개통 임박 징후로도 해석할 수 있다.

압록강 건너편 북한 위화도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건설된 모습도 눈에 띄었다. 지난해 홍수로 대규모 수해를 겪은 곳이다. 낮은 건물을 밀고 10층 넘는 아파트가 길게 늘어섰다.
‘김정은 동지의 말씀 관철’, ‘조국과 인민을 위해 복무’ 등이 적힌 붉은 구호 앞으로 대형 중장비와 안전모를 쓴 인부 수백 명이 바쁘게 움직였다. 수십 동에 달하는 아파트가 완공되면 거대한 신도시를 이룰 것으로 보이는데, 국경이 본격적으로 열리면 이곳 주민들의 생활 반경은 단둥시까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대(對)중국 포위 압박 전략이 강해짐에 따라서 북한을 좀 더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 활동하겠다는 의도가 보인다”면서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둥이라는 관문을 통해 양국 관계가 더욱 밀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 주석은 앞서 북한 정권 수립 77주년 기념일을 맞아 김 위원장에게 축전을 보냈는데 다음 달 10일 북한 조선노동당 창건 80주년을 계기로 방북할 것이란 가능성도 흘러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