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에서 100만명 이상 팔로어를 보유한 인플루언서 A씨는 최근 본인과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다가 충격에 빠졌다.
'인플루언서 A, 협찬 제품 가짜로 리뷰하고 폐기' '인플루언서 A 진실 폭로: 팔로어 수 조작과 허위 광고료' 등의 제목을 단 온라인 영상이 수십 개 올라와 있었다.
'사이버 렉카'에 피해를 입은 사례다. 사이버 렉카는 허위 사실을 유포하거나 유명인의 사고나 불행을 소재로 영상을 만들어 돈을 버는 일부 유튜버를 지칭한다.
최근 유명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는 사이버 렉카가 진위 여부가 불명확한 허위 정보나 가짜뉴스 영상을 제작해 올린 콘텐츠가 적지 않게 돌아다닌다.
가짜뉴스를 만드는 이유는 영상에 대한 좋아요 및 조회수를 중점으로 수익이 창출되는 구조에 있다. 수익을 위해 사실 확인보다는 자극적인 제목과 허위 콘텐츠를 끊임없이 생산한다.
여러 유명인의 가짜뉴스 피해도 계속되고 있다. 공공의 알 권리와는 무관한 사적인 대화 내용까지 보도되는 등 심리적 괴로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정보통신망법 제70조에 따르면 특정 인물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법원 판결에서는 벌금형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플루언서 A씨는 결국 전문업체에 의뢰해 영상과 게시물을 삭제하면서 추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전문업체 내 법무팀을 통해 명예훼손과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법적 대응도 병행했다.
사이버렉카를 두고 전문가들은 “통화 녹취 공개 등과 관련해서는 대부분 벌금형에 그치고, 민사 손해배상을 해도 몇 년 걸리다 보니 그 사이 또 다른 혐오·자극 콘텐츠를 계속 생산하는 일종의 혐오 비즈니스”라고 언급했다.
법적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문제가 되는 영상과 게시물은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심각한 사안인 경우 전문 평판관리나 게시물 삭제 업체에 빨리 의뢰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조호현 기자 hoh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