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HR 플랫폼 딜(Deel)이 전 세계 22개국 비즈니스 리더 5,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at Work: 글로벌 인력 시장에서 AI의 역할’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AI가 글로벌 노동 시장의 구조를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번 연구는 IDC에 의뢰해 진행되었으며, AI 도입 확산에 따라 초급 인력 채용 감소, 리스킬링 수요 급증, 학위의 영향력 약화 등 노동시장 전반의 구조 변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 66%가 향후 3년간 초급 인력 채용을 줄일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업무 자동화가 확산되며 단순·반복 작업을 맡아온 주니어 직군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역시 61%가 신입 채용 축소를 예상한다고 답해 글로벌 흐름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또한 전 세계 기업의 91%, 한국 기업의 93%가 이미 직무 변화 또는 대체가 진행 중이라고 응답해 AI 기반 업무 재편이 이미 현실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AI 도입 속도도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조사 대상 기업의 99%가 이미 AI를 도입했으며, 약 70%는 파일럿 단계를 넘어 조직 전반에 AI를 통합한 상태라고 답했다. 한국 기업 중 43%는 “직무가 크게 변화했거나 완전히 재편됐다”고 밝혔으며, 이는 홍콩(48%)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들은 AI가 단순 반복 업무뿐 아니라 지식 기반 업무 일부도 대체하면서 주니어 직원의 온더잡 학습 기회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전 세계 기업 71%, 한국 기업 72%가 차세대 리더 육성이 어려워졌다고 응답해 인재 파이프라인 유지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AI 확산은 기업의 인재 전략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기업들은 채용 기준에서 학위보다 실질적 기술 역량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 중 대학 학위를 필수 요건으로 두는 곳은 5%에 불과했다. 초급 인력을 채용할 때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는 AI 도구 활용 능력과 코딩 부트캠프 자격증(65%), 문제 해결·비판적 사고 능력(55%), 실무 인턴십 경험(55%) 등이 선정됐다. 글로벌 기업 절반 이상(66%)은 이미 기술 기반 역량 중심의 채용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AI 활용 역량 강화에 대한 투자도 확대되고 있다. 전 세계 기업의 67%가 사내 AI 교육 및 리스킬링 프로그램에 투자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 역시 65%가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그러나 교육 확산의 장애 요소로는 직원 참여 부족(57%), 예산 제약(51%), 전문 강사 부족(45%) 등이 지적됐다. 한국 기업의 59%는 전문 강사 부족을 리스킬링의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답했다. 또한 전 세계 기업의 23%는 AI 재교육의 책임 주체가 명확하지 않다고 답해 거버넌스 부재 문제가 드러났다.
AI 전문가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며 급여 프리미엄 또한 크게 상승했다. 글로벌 기업의 절반은 AI 전문가에게 25~100% 높은 급여를 제공한다고 답했으며, 한국은 조사 대상 22개국 중 AI 인재 확보 의사가 가장 높은 국가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 25%는 시장 평균 대비 50% 이상 높은 연봉을 지급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인도(22%), 뉴질랜드(21%), 호주(20%)를 앞서는 수치다.
IDC 아시아태평양 AI 담당 부사장 크리스 마셜은 “AI는 노동시장을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속도로 재편하고 있다”며 “자동화와 인간 중심 비전을 결합하는 기업이 리더십과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딜 글로벌 정책 총괄 닉 카티노 역시 “신입·초급 직무의 역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업과 근로자 모두 AI 전환 속도에 맞춰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딜은 HRIS, 급여, 규제 준수, 복리후생, 성과·장비 관리까지 단일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HR 서비스 기업으로, 120여 개국에서 3만 5천여 개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AI 기반 HR 자동화 도구와 글로벌 급여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업이 안전하고 빠르게 확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韓, 에너지 효율적 AI 개척하라... AI 잘쓰는 2000만명이 20억명 이긴다"[2025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f5d4b76d-bf57-45cb-8bd7-0922cc181ee7.jpg)
![[챗GPT 3년]<2>AI,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0/news-p.v1.20251120.f11d570c742841548cb3d9096747e715_P1.png)
![방치된 좀비대학 60곳…대학 재정 위기 ‘심화’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0/2H0J00A2DA_1.jpg)


![[헬로BOT] 공장 전체를 설계하라...파일럿 넘어 플랜트 전역을 지배할 ‘통합 로봇 플랫폼’ 시대](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147/art_17635484927992_6c74fe.jpg?iqs=0.13943886752249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