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 무결점 방송 중계 도전

2025-11-05

안양사옥 컨트롤타워 중심 3단계 중계 안정화 체계 구축

회선 4원화·히트리스 프로텍션 기술로 끊김 없는 신호 전송

SRT 프로토콜·MNG 장비 활용해 복수 백업 경로 확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LG유플러스가 내년 2월 6일 열리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무결점 방송 중계'를 자신했다.

5일 LG유플러스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국제방송 중계 서비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안양사옥을 중심으로 끊김 없는 고품질 중계를 위해 ▲회선 4원화 ▲히트리스 프로텍션 ▲SRT 프로토콜 등 3단계 기술 체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안양사옥은 그간 도쿄올림픽, 파리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 중계를 안정적으로 수행해온 LG유플러스 유선 플랫폼 서비스의 핵심 관제 거점이다. 이번 대회에서도 국내 단독 중계 회선을 맡아 글로벌 수준의 전송 품질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중계는 밀라노 현지 국제방송센터에서 촬영된 경기 영상을 해저케이블을 통해 안양사옥까지 약 2만km 전송하는 장거리 프로젝트다. 이 과정에서 해저케이블 손상, 정전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어 LG유플러스는 3단계 안정화 체계를 마련했다.​

우선 해저케이블을 지중해·인도양·남중국해를 거치는 경로 2개, 대서양·미국·태평양을 경유하는 경로 2개 등 총 4원화해 하나의 회선에 문제가 생겨도 즉시 대체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전 구간에 '히트리스 프로텍션(Hitless Protection)' 기술을 적용해 주·예비 회선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끊김 없이 자동 전환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모든 회선이 동시에 장애를 겪는 상황에도 대비한다. 밀라노 현지 인터넷망에서 SRT(Secure Reliable Transport) 프로토콜을 활용해 오류 발생 시 자동 재전송 및 보정 기능으로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계획이다. 추가로 MNG(Mobile News Gathering) 장비를 통해 현지 모바일망을 활용한 무선 전송 경로도 구축한다. 약 1kg의 휴대형 장비인 MNG는 인근 기지국과 연동해 긴급 송출이 가능하며 무선 품질 변화에도 실시간 대응할 수 있다.

안양사옥에서는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운영 중이다. 국제 회선과 네트워크 장비의 점검 상황을 상시 공유하고 대시보드를 통해 전 구간 상태를 관제해 즉각 대응한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는 파리올림픽 당시 무결점 중계를 달성했으며, 이번 대회에서도 완벽한 품질을 목표로 안양사옥 18명, 밀라노 현지 6명 등 총 24명의 전담 인력을 투입한다.

정하준 LG유플러스 유선 플랫폼 운영 담당(상무)은 "국민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의 활약상을 찰나의 순간도 놓치지 않도록 최고 품질의 방송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국제 스포츠 이벤트 중계 분야에서 LG유플러스의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