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배후 해킹그룹 김수키가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만든 딥페이크 이미지로 사이버 공격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니언스 시큐리티 센터(GSC)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북한 배후 추정 김수키 그룹이 AI로 합성한 이미지를 활용해 군 관계 기관에 스피어피싱(특정 개인이나 조직을 겨냥한 맞춤형 공격)을 시도했다.
군무원 신분증의 시안을 검토해달라며 악성 파일을 심은 피싱 메일을 보냈다. 신분증 시안 속 첨부한 사진이 AI로 합성한 딥페이크 이미지였다.
군 공무원증은 법적으로 엄격히 보호되는 공적 신분증이기 때문에 실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제작해 사본을 만드는 것은 위법 행위에 해당한다. 그래서 챗GPT에 신분증 사본 제작을 요청하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다.
하지만 북한 배후 추정 사이버 공격자들은 “실제 군 공무원증 복제가 아니라 합법적인 목적의 시안 작성 또는 샘플 용도의 디자인 제작”이라고 AI 모델을 설득하는 수법으로 딥페이스 이미지를 손에 넣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메일 발신자가 실제 군 기관에서 일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공식 도메인 주소과 유사한 도메인을 써서 눈속임을 시도했다.
특히 김수키 그룹은 피싱 메일을 보내면서 AI가 메일을 대신 관리해 주는 기능인 것처럼 제목을 달아 수신자를 현혹하는 등 최근 AI를 테마로 한 공격에 적극성을 나타내고 있다.
GSC는 “AI 서비스는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동시에 국가 안보 차원의 사이버 위협에 악용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라며 IT 조직 내 채용·업무·운영 전반에서 AI 악용 가능성을 고려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