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사이버 안보·보안 진용의 퍼즐이 하나둘 짜맞춰지고 있다. 국가정보원 3차장 자리 공백이 2개월 만에 채워진 데 이어 김소정 신임 대통령실 사이버안보비서관이 공식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정보보호업계 등에 따르면, 김소정 사이버안보비서관이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 첫 출근했다.
김 신임 비서관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출신으로, 공급망 보안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정원이 사이버 안보 전문 기관으로 지정한 한국사이버안보학회에서 사이버 거버넌스 연구실장을 맡고 있다. 최근까지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 신흥안보연구실장으로 사이버안보 정책 분야를 연구했다.
김 비서관은 그간 '사이버 국제법에 대한 국가입장 공개 쟁점과 고려사항', '스마트폰 해킹과 국가안보', '영국 사이버 모니터링 센터(CMC) 개소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국가 사이버안보 전략 개정의 특징과 시사점' 등 보고서를 발간하며 활발한 활동을 벌여왔다.
특히 '트럼프 2기 사이버안보 정책 변화 전망', '러북 신조약의 사이버안보 함의 및 시사점', '하이브리드 위협 대응을 위한 정책 고려사항' 보고서가 눈에 띈다.
김 비서관은 트럼프 2기 사이버안보 정책 변화 전망 보고서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사이버 전략은 단순한 억제를 넘어,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속적 우위 확보를 목표로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비서관은 또 “대부분의 취약점 정보가 민간 기업과 전문가에 의해 보유되고 있다”며 “동맹국 및 파트너국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을 국가 차원에서 보완할 수 있는 정책적 수단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가 주도하는 정보 공유 기준과 민간 협력 체계, 사이버 무기의 법·제도적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전담 조직과 예산 확보, 사이버 인력 양성 등 종합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대통령실은 안보실 인사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지난 13일 임명된 김창섭 국정원 3차장은 국정원에서 과학기술부서장과 기술개발부서 단장을 역임했다. 김 3차장이 전임 백종욱·윤오준 3차장으로 이어지는 소통 행보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정보보호업계 관계자는 “전임 3차장들은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극 소통하며 자칫 국정원에 가질 수 있는 선입견을 해소하려고 노력했다”며 “최근 공격 양상을 보면 사이버 보안이 민생과 직결되는 만큼, 김 신임 3차장 역시 전임 3차장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