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10년 만에 첫 삽…27일 기공식

2025-11-17

[서울=동양뉴스] 허지영 기자 = 서울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거점으로 개발 중인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서울코어'가 드디어 첫 삽을 뜬다.

서울시는 오는 27일 오후 2시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에서 기공식을 개최하고 국가적 도시혁신프로젝트의 본격 도약을 알린다고 17일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서울코어'는 시가 추진하는 도시공간 대개조의 핵심사업이다.

시는 도시공간 대개조를 통해 서울을 글로벌 탑5 도시로 올려놓겠다는 목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의 심장이자 대한민국의 얼굴인 용산 일대의 입지적 잠재력을 극대화해 서울역~용산역~한강변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 비전을 실현하는 초대형 도시개발사업이다.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 45만6099㎡구역을 개발하는 이번 사업은 도로와 공원 등 2028년까지 부지조성공사를 완료하고 이르면 2030년 기업과 주민입주를 시작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주된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 업무복합, 업무지원 3개 구역으로 구성된다.

국제업무지구의 실질적 성장을 이끌 국제업무존은 기존 용도지역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착공에 발맞춰 용산서울코어를 글로벌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 집적지로 육성하기 위해 기업과의 협의 라운드를 준비 중이다.

2030년대 초 첫 글로벌 헤드쿼터 입주를 목표로 정부, 사업시행자와 함께 유수 기업들의 투자를 독려할 예정이다.

신속한 주택공급에도 힘쓴다.

이르면 2027년 말에 주택분양이 이뤄지도록 토지분양과 건축 인허가 관련 행정 지원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서울 도심 내 택지부족에 따른 주택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난해 11월 발표한 1만3000호에 더해 확대 가능한 물량을 면밀하게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 도심 3축(광화문·여의도·강남)의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의 마지막 대규모 유휴지다.

개발 완료시 글로벌기업 지역본부와 국제 인재가 집적되는 핵심 거점으로서 건설 기간 중 약 14만6000명의 고용과 32조6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발생하고 조성 이후 연간 1만2000명의 고용과 연간 3조30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임창수 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의 미래 100년을 여는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로서 세계 도시들과 경쟁하기 위해 단순한 개발이 아니라 기술과 문화 그리고 사람 중심의 새로운 도시문화를 만들어가겠다"며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