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9일 국무회의서 '2026년 예산안' 의결
전기차 전환지원금 신설…100만원 지원
무공해차 구매융자 신설…보급 가속화
녹색금융 0.8조 투입해 8.8조 정책금융
탄소중립 무공해차 보급 3.1조→3.7조
차세대전력망·RE100 산단 2.8조→4.2조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내연기관차를 폐차하거나 판매하고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정부가 1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또 전기차·수소차와 같은 무공해차를 보다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낮은 금리로 융자를 지원해 줄 방침이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년도 예산안'을 발표했다.
◆ 무공해차 보급 등 탄소중립 예산 20% 늘려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과 탄소중립 추진을 위해 내년에 총 3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올해 3조1000억원보다 20%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우선 '전기차 전환지원금'을 신설하고, 무공해차 인프라 펀드(1000억원)를 조성하는 등 무공해차 보급을 촉진할 계획이다.
내연기관차를 폐차하거나 판매한 후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또 에너지 자립, 기후 적응을 위한 공공건축물 리모델링에도 2000억원을 투입한다.

온실가스 감축설비 도입 지원(201개사) 및 소규모 사업장 측정기기 확충(7000개→1만7000개) 등으로 탄소감축 기반을 조성한다.
그밖에 녹색금융은 8000억원을 투입해 저금리 융자·보증 등 8.8조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통해 녹색 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포석이다.
◆ 재생에너지 확대 등 에너지전환 예산 50% 늘려
정부는 또 신재생에너지 확산과 차세대 전력망 구축 등 에너지전환 예산으로 총 4조2000억원을 책정했다. 이는 올해 예산(2조8000억원)보다 50%나 급증한 것이다.
우선 기존 화석연료를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발전설비 융자와 보조금을 5000억원에서 9000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또 'RE100 산업단지'와 햇빛·바람연금 융자지원을 강화한다. 지원율을 기존 80%에서 85%로 높였다. 인공지능(AI) 분산형 전력망 구축을 위해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비용 지원에 1000억원을 투입한다.

또 RE100 산단 조성에 필요한 전력망 선제 구축에도 250억원을 투입한다.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으로 차세대 전력망 산업 육성에도 702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새정부의 국정과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 예산을 대폭 늘렸다"고 설명했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