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베트남 바다 위 우뚝 선 '캐시카우'…SK E&S, 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박차

2025-05-19

# SK이노베이션 E&S(SK E&S)의 베트남 탄푸동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보하며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했다. SK E&S는 베트남에서 해상풍력 발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생에너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SK E&S는 베트남이 재생에너지 사업 전개에 우호적인 환경 및 수요 급증 등 장점이 있는만큼 글로벌 재생에너지 사업의 전초기지로 삼고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베트남 탄푸동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방문해 사업 현황 및 향후 전략과 비전을 살펴봤다.

◇36기 풍력터빈, 연 500억원 수익 창출

베트남 탄푸동(TPD)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방문하기 위해 호치민시에서 버스를 타고 남쪽으로 2시간 가량 이동했다. 이후 차를 바꿔 타 메콩강과 바다가 만나는 베트남 최남단 메콩델타에 위치한 벤짜우 선착장으로 다시 이동했다. 벤짜우 선착장에서 TPD 해상풍력 발전 단지로 들어가는 배를 타기 위함이다.

안전모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배에 올라 북동쪽 바다로 나갔다. 하지만 배가 출발한지 얼마 되지 않아 공안에 의해 멈춰섰다. 해상풍력단지가 국가 시설인만큼 공안의 검사를 받아야했기 때문이다.

검사가 마무리되고 다시 물길을 헤치고 달려기를 20여분, 수평선 위로 우뚝 선 거대한 풍력 터빈들이 눈에 들어왔다. TPD 해상풍력 단지를 가까이서 보기 위해 풍력 터빈에 오르기로 했다. 배를 접안하고 수직으로 뻗은 높이 약 10m의 사다리를 올라 풍력 터빈 위에 발을 딛으니 블레이드가 바람을 가르며 돌아가는 소리와 함께 거대한 풍력 터빈들이 더욱 선명하게 눈에 들어왔다.

SK E&S가 운영 중인 TPD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총 150㎿ 규모로, 베트남 티엔장 지역 내 최대 규모이자 상업 가동에 들어간 최초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다. SK E&S가 보유한 글로벌 재생에너지 자산 중 가장 큰 발전단지이기도 하다.

축구장 25개 만한 총 면적 25만m²의 해수면 위로 4.2㎿ 급 풍력터빈 36기가 펼쳐져 있다. 높이 105m의 기둥에 지름 150m 날개로 구성된 각 터빈들은 500m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돼 있다.

이렇게 각 터빈이 매일 생산하는 평균 전력량은 약 35㎿h 수준이며 지난 연간 발전량은 총 443GWh다. 베트남 현지 기준으로 약 2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SK E&S는 베트남 국영전력회사인 EVN과 장기 고정가격 계약을 맺고 판매하면서 연간 약 500억원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했다.

◇글로벌 전초 기지 베트남

SK E&S는 글로벌 재생에너지 사업의 전초기지로 베트남을 주목, 선제적인 투자를 이어왔다. SK E&S는 2022년 지분 45%를 확보해 TPD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또 지난 2020년부터 남부 닌 투언 지역에 131㎿ 규모의 태양광 설비에 투자했고 베트남 현지 재생에너지 기업 GEC와 합작법인 '솔윈드 에너지'를 설립해 첫 프로젝트로 떠이닌 지역에 온실가스 감축 시범사업인 7㎿ 지붕형 태양광을 준공했다. 라오스 살라반 지역에 756㎿의 육상풍력발전소를 구축해 생산된 전력을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크로스 보더 발전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약 1GW 규모의 운영·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으며 연간 약 39만톤(t)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2023년 6월에는 베트남 호찌민에 재생에너지 사업 대표 사무소를 여는 등 신규 프로젝트 발굴과 사업 개발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SK E&S는 베트남을 전초기지로 선택한 배경으로 재생에너지 사업에 유리한 자연환경과 다수의 글로벌 기업 진출 등을 꼽았다. 베트남은 일조량이 많은데다 남북으로 긴 해안에서 연평균 고른 바람이 불어 태양광 및 풍력발전에 최적의 입지로 꼽힌다.

또 베트남에는 애플, 인텔 등 다수의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생산기지가 위치하고 있다. RE100 이행 압박과 더불어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세 시행이 가까워오면서 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지고 있다.

SK E&S는 베트남에서 쌓은 경험과 역량을 토대로 동남아 및 동유럽, 북미 등으로 무대를 넓히며 글로벌 재생에너지 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보유한 약 1GW 규모의 글로벌 파이프라인을 2030년까지 2배 이상으로 키워 재생에너지 사업을 SK이노베이션이 보유한 에너지 포트폴리오의 핵심 축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탄소배출권 선제적 확보

SK E&S는 재생에너지 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글로벌 탄소시장이 열리면 탄소배출권은 직접적인 수익 창출의 수단이자, 기업의 탄소중립 실행에 필수적인 핵심 전략자산으로서 그 가치가 급격히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SK E&S는 TPD 해상풍력 프로젝트 투자 당시, 향후 온실가스 감축 사업으로 인정받으면 발급될 탄소배출권 전량을 15년간 SK E&S가 갖는 조항을 계약에 포함시켰다. 이를 통한 탄소배출권 예상 확보량은 연간 약 26만t 규모다.

권기혁 SK E&S 베트남 대표사무소장 “국내 민간 1위 재생에너지 사업자로서 축적해온 경험과 실행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도 적극 개척해 나갈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사업을 SK이노베이션이 보유한 종합 에너지 포트폴리오의 핵심 축으로 육성하고, 탄소 감축에 적극 기여하는 글로벌 재생에너지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라고 밝혔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