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 국제화 가속…해외대출 5년 새 4배↑

2025-10-26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에 속도를 내면서 위안화 대출과 예금·채권 투자 규모가 가파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위안화 중심의 무역결제 확대와 채권시장 개방을 통해 달러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통화의 국제 금융시장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26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은행들이 보유한 위안화 표시 해외 대출, 예금, 채권 투자 규모는 3조 4000억 위안(약 687조 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년 새 네 배나 급증한 수치다. 중국 외환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중국 은행들이 보유한 역외 고정수익자산(채권) 규모는 지난 10년간 두 배 넘게 늘어나 1조 5000억 달러(약 2160조 원)에 달했다. 대외 채권 자산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 자산이 차지하는 규모는 6월 말 현재 4840억 달러로 나타났다. 위안화 대출과 예금도 이 수치에 포함되는데 2020년 1110억 달러에서 올 6월 말 3600억 달러로 폭증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추산에 따르면 개발도상국들의 위안화 대출은 4년 동안 3730억 달러(올 3월 말 기준)나 증가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의 수출 대금 결제에서 달러·유로화 비중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위안화 대출의 상당 부분은 무역금융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전 세계 무역금융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불과 3년 만에 2% 미만에서 7.6%까지 상승했다. 중국이 금리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한 덕분에 케냐·앙골라·에티오피아 등은 달러 표시 채권을 올해부터 위안화 표시 채권으로 전환했다. 인도네시아와 슬로베니아도 최근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하기로 했다. 카자흐스탄개발은행은 지난달 3.3%의 수익률로 역외 위안화 채권 20억 위안어치를 발행하기도 했다. 다만 전 세계 외환보유액 비중에서 위안화는 2%를 겨우 웃도는 수준이다. 한편 중국의 자체 결제망인 국제결제시스템(CIPS)도 최근 1년 새 분기당 거래 규모가 40조 위안을 돌파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서방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의존을 줄이고 독자적인 결제 인프라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으로 읽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