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유전이 18일 전북 정읍시에 우리기술과 합작 투자한 ‘웨이브 정읍(WAVE Jeongeup)’ 플랜트의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초로 폐플라스틱을 연소시키지 않고 저온(300℃ 미만) 상태에서 촉매 분해하는 기술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원료로 쓰이는 나프타 수준의 고품질 재생원료를 생산하는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한 것이다.
이날 준공식에는 정영훈 도시유전 대표, 김정윤 도시유전 회장, 노갑선 우리기술 대표, 전대영 우리기술 부사장, 박정우 웨이브정읍 대표, 박균택·김용태·송영길 전·현직 국회의원, 압둘모센 알자질 사우디 페드코 대표, 리차드 패리스 영국 사비엔 그룹 회장, 데릭 킴 트라피규라코리아 이사, 케빈 유노 트라피규라 이사, 다니엘 한 사우디 SIRC 이사, 유미란 독일 바스프 아시아지부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준공된 공장에는 농가에서 발생하는 영농폐 비닐을 비롯한 연간 6500톤의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을 처리해 최대 4550톤의 플라스틱 재생원료유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가 조성돼 있다. 설비 공정은 세라믹 촉매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300℃ 미만의 온도에서 폐기물을 태우지 않고 분해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300℃ 미만 온도의 열분해 과정에서는 다이옥신·퓨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저온열분해 처리기술은 △국제적 지속가능성을 인증하는 ISCC PLUS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PSM(공정안전관리제도) △ KTL 품질검증 등 3대 국내·국제 검·인증을 모두 획득했다. 국제적으로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은 것은 물론 생산된 재생원료는 해외 수출도 가능하다. 특히 ISCC PLUS 인증은 플라스틱을 만드는 나프타 크래킹 공정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재생 원료유를 한국의 단일 공장에서 자체 기술로 생산함으로써 EU의 까다로운 환경규제를 통과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도시유전 측은 “이는 기존의 고온 열분해 방식이 가진 연소·배출·저순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차세대 친환경 기술로 도시유전은 지난 30여 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가연성 폐기물의 저온 분해 승화장치’ 등 6건 이상의 특허와 세라믹 촉매볼의 파동에너지를 통해 탄소고리를 끊는 고분자 분해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가능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영훈 도시유전 대표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비연소 저온분해 기술을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웨이브 정읍 플랜트’는 국가적 성취”라며 “이 기술은 단순한 벤처기업의 기술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기후·환경 위기 시대에 세계의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친환경 기술의 상징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해외투자자로 참석한 압둘모센 알자질 사우디 페드코 대표는 “도시유전의 기술과 ISCC PLUS와 같은 국제적 인증은 물론 한국의 공인 검증이 통과된 정읍 상용화 공장 시설을 이미 진행 과정부터 관심있게 지켜봤다”며 “공장 실사를 한 결과 도시유전의 RGO 기술은 현실이며 반드시 중동국가와 지역내 도입이 필요한 친환경 기술이라는 판단으로 투자를 결심했고 이번 계약뿐만 아니라 도시유전이 수용하는 범위에 한해 지속적인 투자도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르포]1분에 한대씩…BYD 전기차, '첨단 공정' 앞세워 글로벌 공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8/1d502f70-2fef-4ecd-a2f8-35909575f293.jpg)

![[BYD 정저우 공장을 가다]BYD, 5분 충전 400㎞·무인 자율 주차 '상용화'](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7/news-p.v1.20251117.f565aada28ca49958e961e846214941b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