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년에, 국내 6개 시도에 각종 경기가 배분되어서 지방분산, 친환경, 재정 절감, 균형발전형 모델로 개최를 유치하는 하계올림픽은 ‘2036 전주 올림픽’이 공식 명칭이다.
이 이름을 놔 두고 ‘전북 올림픽’이나 ‘전북전주 올림픽’으로 표기하는 일부의 경향부터 수정해야 ‘전주 올림픽’이 산다.
그러나 전주올림픽의 유치준비를 위한 시작부터 유치, 조직위에 이르기까지 위원장은 전북특별자치도 ‘도지사’다. 1988년 서울올림픽은 서울시장이었고, 2018년 평창 올림픽은 강원도 지사가 맡았다. 이름도 강원평창이나 평창강릉이 아니라 그냥 ‘평창 동계 올림픽’이다. 그 동계올림픽 유치전을 무주전주로 치렀던 전북은 시작부터 실수를 범한 셈이다.
지난 2월 말 국내 유치지 선정을 마친 ‘2036 전주 올림픽’은 이미 두 달을 낭비하고도, 아직 도의회와 문화관광부의 승인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절차적 사안들의 용역조차 미완이다. 용역을 최단기에 진행하고, 당초 대선 전 문광부 승인을 받는다는 복안대로, 전격전(電擊戰)으로 해치워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 도지사와 함께 대한체육회장과 문광부장관을 공동 유치준비위원장으로 삼아 절차 사항 완료에 집중하도록 해야 한다. 신정부 들어서기 전 촌음의 공백도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관련 시도와의 게임 분산 문제 이행을 재확인하고 관련 시도민과 그들 자치단체, 그리고 그 곳들의 정치권이 통일된 힘으로 지원하도록 동력을 모으는 게 급선무다.
신정부가 들어서면 ‘정부인수위원단’부터 ‘2036전주올림픽’을 외치고 몰입해 줘야 한다. 바로 이렇게 시작해야 신정부가 출발부터 대통령 공약의 시동을 걸면서 올림픽 유치 핵심이자 필수적 선례인 재벌들의 전격적이고도 능동적 유치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금은 좌고우면할 틈조차 아껴야 한다. 무엇보다 행여 ‘전주올림픽’ 유치 과정에 차질을 빚어 그 틈새를 노리는 위험한 사고(思考)자들이 생길까 저어되는 시간이다.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