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 최초로 MHEV 플러스 탑재해 디젤 단점 개선
가격 인상 최소화…A5는 5000만원대, Q5는 6000만원대 시작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아우디코리아가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고 옵션과 사양은 강화한 중형세단 A5와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Q5를 출시하고 하반기 한국 시장 점유율 공략에 나선다. 전동화 흐름 속에서 출시된 디젤 신차가 한국시장에서 어떤 반응을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아우디코리아는 1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프리미엄 중형 세단 '더 뉴 아우디 A5', 중형 SUV '더 뉴 아우디 Q5'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스티븐 클로티 아우디코리아 사장은 "한국 고객은 단순한 성능이나 옵션을 넘어서 브랜드가 제공하는 철학과 일관성, 깊이 있는 경험을 기대한다"며 "이번 A5와 Q5는 아우디의 미래 방향성을 담은 모델"이라고 말했다.
◆A5·Q5에 아우디 최초 MHEV 플러스 탑재...저진동·저소음 구현
이번에 출시된 두 모델은 아우디코리아가 올해 하반기 주력 차종으로 꼽은 차량이다. 두 모델 모두 내연기관 기반에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시스템을 결합한 디젤 모델로 전동화가 일시적으로 주춤한 상황에서 내연기관 수요를 겨냥했다.
A5와 Q5는 아우디 내연기관 전용 플랫폼인 PPC(프리미엄 플랫폼 컴버스트)를 최초로 적용한 차종이다. 이 플랫폼은 향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에도 활용될 수 있어 확장성이 높다. 아우디코리아는 이들 차량에 디젤 모델로는 처음으로 MHEV 플러스 기술을 접목했다. 이를 통해 연비 개선과 함께 디젤 특유의 저속 진동과 소음을 줄였다.
노태훈 아우디코리아 A5 상품기획팀 매니저는 "PPC 플랫폼과 MHEV 기술을 결합해 정숙성과 주행성능을 높였으며, 실내 공간에서도 한층 여유로움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A5 전 트림에는 아우디 최초로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스위처블 파노라믹 루프가 탑재됐다. 버튼 하나로 최대 6단계까지 조절 가능해 자외선 차단과 개방감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스포츠 시트, 앞좌석 통풍 및 열선 기능, 앞좌석 이중접합 유리, 전 좌석 열선 시트 등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편의 사양도 기본 적용됐다.
A5는 기존 중형 세단 A4 시리즈의 계보를 잇는 모델이다. 동시에 역동적인 드라이빙 성능을 갖춘 패밀리 세단으로 실용성과 퍼포먼스를 모두 추구하는 수요층을 겨냥했다. 전장·전폭·전고가 모두 커지며 동급 경쟁 차종 대비 넓은 공간감을 확보한 것도 특징이다. 이전 세대 모델 대비 전장은 65mm, 전폭 15mm, 전고 25mm가 늘어났다.


Q5는 아우디코리아의 SUV 라인업 중에서도 빠르게 점유율을 넓히고 있는 모델이다. A5와 마찬가지로 PPC 플랫폼 적용을 통해 기존 모델 대비 전장은 35mm, 전폭은 5mm 늘어났다. 블랙 에디션에는 동급 경쟁모델 최초로 어댑티브 에어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노면 상황에 최적화된 주행을 지원한다.
엔트리 트림인 어드밴스드는 6000만원대에서 구매 가능하게 가격 접근성을 높였고, 파노라믹 선루프와 하이빔 어시스트 등 주요 옵션을 전 트림 기본으로 제공한다.
현장에서는 양 모델에 탑재된 AI 어시스턴트 시연도 진행됐다. 음성 명령을 통해 창문 개폐, 실내등 조정, 서스펜션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점이 주목을 받았다.

◆가격 인상 100만원 내외...일부 트림은 오히려 낮춰
가격 정책은 유지를 기본으로 했다. 두 모델 모두 프리미엄 사양과 옵션이 기본으로 확대하면서도 전체적인 가격 인상폭은 100만원 내외로 억제했다. A5는 트림에 따라 5789만~8342만원, Q5는 6968만원부터 시작한다. 일부 트림의 경우 오히려 가격이 낮아진 부분도 있다.
최근 전기차 중심의 시장 흐름 속에서 내연기관 모델의 역할이 다시 부각되고 있기에 이번 신차에도 관심이 쏠린다. 올해 아우디코리아는 총 16종의 신차를 선보이며 브랜드 재도약을 선언했고, 앞서 준중형 전기 스포츠실용차(SUV) Q4 e-트론, 준중형 세단 더 뉴 아우디 A3의 부분 변경 모델 등을 선보인 바 있다. 5월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3.2% 증가한 3868대를 기록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