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신부전 초기 증상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2025-09-12

[폴동물병원의 알쓸반잡] 고양이를 오래 키우다 보면 사소한 변화가 눈에 띄기 시작해요. 물그릇을 자주 들여다보는 모습, 예전 보다 화장실을 자주 가는 듯한 느낌, 조금씩 줄어드는 식사량... 처음에는 단순한 노화의 신호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런 변화가 '신부전'이라는 고양이에게 흔한 만성 질환의 시작일 수 있다는 걸 아시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저희 폴 동물병원에서도 '물을 많이 마셔요' 라는 보호자분의 말씀에서 신부전을 조기에 진단하는 경우가 꽤 자주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양이 신부전과 함께 관리에 자주 사용되는 피하수액과 영양제 종류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신부전은 말 그대로 신장(콩팥)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고양이이 경우, 나이가 들수록 신장 기능이 점차 약해지는 만성신부전(CKD, Chronic Kidny Disease)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고양이 신부전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급성 신부전(AKI, Acute Kidney Injury): 갑자기 신장 기능이 떨어지며, 원인에 따라 회복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 (CKD) : 서서히 진행되며 완치는 어렵지만, 조기 관리로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JAVMA(미국 수의학 학술지)에 따르면, 7세 이상 고양이의 약 30~40%가 만성 신부전을 겪을 수 있다고 보고돼 있습니다. 특히 초기에 증상이 모호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부전은 초기에 알아차리기 어려운 질환 중 하나입니다. 다음과 같은 변화가 느껴진다면 한 번쯤 검진을 받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 •물을 많이 마시거나 소변 양이 늘어남
  • •체중 감소, 식욕저하
  • •구토 또는 구역질
  • •입 냄새 (특히 소변 냄새와 비슷한 암모니아 향)
  • •털이 푸석푸석해짐

이런 변화는 피로 누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몸에서 노폐물을 걸러내지 못해 위장관, 전신 대사에 영향을 미칩니다.

신부전 고양이에게 가장 먼저 고려되는 관리 중 하나가 바로 피하수액 (subcutaneous fluid therapy)입니다.

피하수액의 역할

피하수액은 몸속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는 보조 치료입니다. 신장이 나빠지면 고양이는 탈수 되기쉽고, 체내 노폐물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때 피하에 수액을 넣어주면 수분이 천천히 흡수되며 탈수를 방지하고, 신장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폴 동물병원에서는 신부전 진단시 상태에 따라 피하수액을 집에서 진행하는 방법을 함께 안내해드립니다.

신부전 관리를 위한 영양제는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목적도 조금씩 다릅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종류들이 있습니다.

유산균 제제(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제가 신부전 고양이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들이 늘고 있습니다.

장내 독소(특히 요독성 물질인 uremic toxins)의 생성을 줄이고, 면역 조절에 기여해 신장에 간접적인 보호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 특화된 프로바이오틱스는 신장성 독소를 장을 통해 일부 배출하도록 돕는 매커니즘으로 사용됩니다.

AVMA와 JAVMA에서도, 신장 질환에서의 마이크로바이옴 조절의 중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장건강과 신장 건강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인 결합제(phosphate binders)

신장이 나빠지면 인 배출이 잘 안되면서 체내 인 수치가 올라갑니다. 인은 신장에 독성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영양제가 필요합니다.

오메가 3 지방산

염증 조절과 신장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EPA, DHA 함량이 높은 제품을 권장합니다.

비타님 B군 보충제

신장 기능 저하시 소변을 통해 수용성 비타민이 과잉 배출되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피로, 식욕 저하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언제 어떤 치료를 시작해야 할까?

고양이의 상태에 따라 치료 전략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IRIS(국제 신장질환 단체)의 신부전 단계 기준에 따라, 혈액검사 수치(Creatinine, SDMA, BUN 등), 소변검사, 임상증상을 종합해 평가합니다.

보호자분께서 확인 할 수 있는 가정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정에서 체크해보세요

  • •최근 식욕이 줄거나 입맛이 변했나요?
  • •구토 빈도가 늘었거나 구역질을 자주 하나요?
  • •물을 자주 마시거나, 소변량이 많아졌나요?
  • •체중이 눈에 띄게 줄었나요?
  • •입 냄새가 강해졌나요?

위 항목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건강 검진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나이가 7세 이상인 고양이들은 정기적인 신장 검사가 중요합니다.

얼마전 저희 병원에 13세된 코숏 고양이가 내원했습니다. 보호자분은 요즘따라 물을 자주 마시고 잘 안먹는다고 하셨죠.

검사결과 크레아틴 수치가 8.7 이상으로, IRIS 4단계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 됐습니다.

이후 피하수액을 진행하면서, 인 결합제와, 유산균제제를 사용했고 현재까지도 안정적으로 잘지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초기에 잘 관리하면 삶의 질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신부전은 완치보다는 관리가 핵심인 질환입니다. 하지만 보호자님의 관찰과 조기 대응으로 충분히 아이의 삶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피하수액이나 영양제 치료도 아이상태에 따라 시기와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계획이 필요합니다.

저희 폴 동물병원에서도 고양이 신장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보호자 님과 함께 아이의 건강을 지켜나가고 있습니다.

소중한 반려묘와의 시간이 더 오래, 더 따뜻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오늘도 보호자님의 노력을 응원합니다.

김평 수의사(kimpyung@hanmail.net)​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