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증시 데일리 이슈(11.13)] 폴리실리콘 비축 컨소시엄 이슈, 신에너지 통합·융합 방안, 홍콩 기술주 3Q 실적, 中금리인하 시점 내년 1Q로 지연 등

2025-11-13

이 기사는 11월 13일 오전 09시2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와 중국 유력 경제매체 거룽후이(格隆匯)에 따르면, 11월 13일 중국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이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정책·경제·산업별 주요 이슈

1. '태양광 폴리실리콘 비축 컨소시엄' 이슈

12일 중국 본토 A주 시장에서  태양광 장비 섹터의 급락세를 유도한 '다결정실리콘(폴리실리콘) 비축 컨소시엄 구축 무산설'에 대해 중국태양광산업협회는 즉시 성명을 내고 "온라인 상에 떠도는 소문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날 장중  시장에서는 "정오태양능과기(晶澳科技∙JA SOLAR 002459.SZ)의 한 고위 임원이 태양광 월례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폴리실리콘 비축 컨소시엄 구축이 무산됐다'고 언급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폴리실리콘 업계 내에서 생산능력 비축 컨소시엄 설립은 오래 전부터 거론되어 왔다. 그간 태양광 업계가 오랜 기간 침체기를 겪었던 주된 원인이 됐던 공급과잉과 업계 내 경쟁을 해결하고 이를 통해 가격 안정화 및 공급망 질서 회복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러한 업계 행보는 지난 10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관여하는 협흠그룹홀딩스유한공사(協鑫集團控股有限公司∙GCL, 협흠그룹)의 주공산(朱共山) 회장이 '중국 관영매체 중국중앙TV(CCTV) 경제30분(經濟半小時)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내놓은 발언을 통해 기정사실화 됐다.

당시 주 회장은 "17개 태양광 업계 대표 기업이 기본적으로 모두 서명했다"면서 "우리는 해당 방안을 추진하기 위한 컨소시엄 설립을 추진 중이며, 올해 안으로 완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 회장은 그 과정에서 TCL중환신능원(TCL中環 002129.SZ)의 리둥성(李東生) 회장,  융기실리콘자재(隆基綠能∙LONGI)의 중바오선(鐘寶申) 회장 등 업계 대표 기업 리더들과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만련증권(萬聯證券)의 취팡(屈放) 투자자문은 "폴리실리콘 비축 컨소시엄 설립은 태양광 산업의 반내권(反內卷, 업계 내 소모적 과다경쟁을 방지) 실현을 위한 효과적인 조치 가운데 하나"라면서 "플랫폼 설립 이후 공급측 개혁을 가속화하고 낙후된 생산능력의 퇴출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고 평했다.

2. 신에너지 통합·융합 발전 촉구 방안

12일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신재생에너지 통합·융합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하고, 신재생에너지를 다양한 응용산업과 융합해 개발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

2030년까지 통합·융합이 신에너지 발전의 중요한 방식으로 자리 잡고, 대체 에너지로서의 신에너지에 대한 신뢰도가 한층 더 강화되며, 시장 경쟁력이 눈에 띄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3. 홍콩 스타 기술주 3Q 실적 발표

미국증시와 중국∙홍콩증시에 동시 상장된 중국테마주(中概股, 해외 시장에 상장한 중국기업 종목) 다수가 13일 3분기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스타 기술주의 펀더멘털 현황을 점검해볼 수 있는 핵심지표로 작용, 기술주 주가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목된다.

13일 3분기 실적을 공개하는 중국테마주는 텐센트(0700.HK/TCEHY.US), JD닷컴(징둥 9618.HK/JD.US), SMIC(중심국제집성전로제조, 688981.SH/SMI.US), 비리비리(9626.HK/BILI.US) 등이다.

시장에서는 텐센트의 경우 3분기 영업수익(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4% 증가할 것이며, 게임과 광고 사업이 양대 성장 동력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4. 中 금리∙지준율 인하, 내년 1Q로 지연 전망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시점이 종전 시장의 예상보다 늦춰진 내년 1분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2026년 1분기에 중국이 '동시 완화 조치(기준금리 10bp 인하, 지급준비율 50bp 인하)'를 시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종전의 2025년 4분기 예상보다 늦춰진 것이다. 또한, 원래 2026년 2분기로 예상했던 추가 10bp 금리 인하 시점도 3분기로 미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중국 인민은행의 3분기 통화정책보고서는 이전 분기보다 비둘기파적(완화적) 색채가 약하다"면서 "통화 완화의 '보류'보다는 '지연'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위안화 국제화 논의가 부각되면서 외환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 "이는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의 점진적인 절상(가치상승)을 용인하는 정책 방향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5.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택배물량 급증

중국 최대 규모의 쇼핑 축제인 '광군제(光棍節, 11월 11일 개최돼 솽스이<雙十一>로도 불림)' 기간 소비가 확대되면서 택배 물량이 급증했다.

중국 국가우정국에 따르면, 10월 21일부터 11월 11일까지 중국 전역의 우편·택배 기업들은 총 139억3800만 건의 택배를 접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하루 평균 접수량은 6억3400만 건으로, 평소 업무량의 117.8%에 달했다. 성수기 하루 최대 업무량은 7억7700만 건으로, 일일 업무량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택배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우정·택배 산업이 소비 업그레이드와 실물경제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지원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중국증시 상장사 뉴스

① 화웨이 : 중국 국가지식재산국 상표국의 최신 정보에 따르면, 화웨이기술유한공사는 최근 '치제(齊界)' 상표를 출원했으며, 신청일은 올해 6월 16일로 현재 실질심사 대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짐.

② 닝더스다이(300750.SZ/3750.HK) : 닝더스다이(CATL) 쩡위췬(曾毓群) 회장 "제5세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이 이미 시작됐다"고 밝힘.

③ 절강동일(600113.SH) : 농산물 시장 운영업체. 최근 3거래일 상한가 기록한 배경이 된 '뇌-기계 인터페이스' 사업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힘.

④ 순발항능(000631.SZ) : 부동산 개발업체. 다양한 형태의 청정에너지 사업에 단계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힘.

⑤ 세기화통(002602.SZ) : 인터넷 게임 개발업체. 5억~10억 위안을 들여 자사주를 매입하고, 등록자본 감축을 위해 소각할 계획.

⑥ 텐센트(0700.HK/TCEHY.US), JD닷컴(징둥 9618.HK/JD.US), SMIC(중심국제집성전로제조, 688981.SH/SMI.US), 비리비리(9626.HK/BILI.US) : 13일 3분기 실적 발표 예정.

pxx17@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