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PHA 빨대를 활용한 ‘빨대 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전개하며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 감축에 나섰다. 이번 캠페인은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추진되며, 매장 내 플라스틱 빨대를 비치하지 않고 고객 요청 시 생분해성 PHA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CJ제일제당은 ‘빨대 없는 스토어 만들기’ 캠페인이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 전환에 기여하기 위한 활동이라고 19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비치 중단 ▲고객 요청 시 ‘생분해성 PHA 빨대’ 제공 ▲소비자 참여를 통한 자원순환 인식 확산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캠페인은 이달 10일부터 강릉 지역 커피전문점 18곳과 뚜레쥬르 직영점 2곳 등 총 20개 매장에서 진행 중이다.
PHA 빨대는 퇴비화가 가능하고 미세 플라스틱이 남지 않는 지속 가능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CJ제일제당은 PHA 빨대를 석유계 플라스틱 대체재로 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손쉽게 친환경 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PHA 소재는 미생물이 식물 유래 성분을 먹고 생성하는 고분자 물질로, 산업·가정 퇴비화 시설은 물론 토양·해양에서도 자연 분해되는 특성을 지닌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PHA 빨대를 도입하는 프랜차이즈가 늘어나는 가운데, CJ제일제당은 지난달 글로벌 인증기관 ‘TÜV Austria’로부터 ‘PHA 단일 소재 빨대 원료의 해양 생분해 인증’을 획득하며 국내외 상용화 기반을 확보했다. 현재 PHA 소재는 빨대 외에도 화장품 용기, 인조잔디 충전재, 종이코팅, 식기류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2022년 PHA 상업생산을 시작하며 생분해 소재 브랜드 ‘PHACT’를 론칭한 바 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PHA 빨대는 생분해가 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종이 빨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PHA 소재의 강점을 기반으로 자원순환 사회 구축을 위한 ESG 경영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GAM]금속 포장재 1위 CCK ① 성장-저평가-주주환원 '삼박자'](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