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조류에서 사람 전파 확대 '빨간불'
지난해 해외 AI 인체 감염 8배 '급증'
팬데믹 발생 시 코로나19보다 '치명'
대응력, 정부·민간 기관 연결에 달려
19일동안 14단계 첫 합동 훈련 돌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 국내 첫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 사례가 나타났다. 국내·외 대학생들이 실습교육을 받던 중 동물원 호랑이 사체로부터 AI에 감염된 것이다. 정부는 '진단검사 신속대응체계'를 가동해 감염병 확산 방지의 골든타임을 지켰다. (AI 인체감염 모의 훈련 내용)
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2일 청주 오스코에서 청주 오스코에서 AI 인체감염 진단검사 종합토의를 마지막으로 3주에 걸친 모의훈련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 AI 팬데믹, 코로나19보다 치명적…국가 대응력, '실제 훈련'에 달려
세계 보건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이은 차세대 팬데믹 후보로 AI 인체 감염을 꼽는다. AI는 조류에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닭, 오리 등을 대상으로만 감염이 일어났다. 그러나 최근 고양이부터 사람까지 감염돼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다행히 국내의 AI 인체 감염 사례는 아직 없다. 그러나 연도별 해외 AI 인체 감염증 발생 건수는 2018년 13건에서 2024년 109건으로 8.4배 증가했다. 특히 2023년까지는 두 자릿수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세 자릿수로 폭증했다. 지난해 미국에서 젖소에서도 AI가 발생해 인체 감염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만일 사람 간 전파가 일어나면, 한국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보건전문가들은 사람 간 AI 인체 감염이 일어나면 코로나19보다 더 치명적인 팬데믹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을 대비할 해법은 '신속한 진단'과 '실제와 같은 훈련'뿐이다. 질병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건환경연구원, 의료기관, 비상생산기관 등 33개 기관은 3주 동안 훈련에 돌입했다.
성흥섭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내부 검증이 아닌 다기관 검증 체계로 수행해 준화된 평가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며 "환자 검체 채취, 검사 수행, 결과 보고, 방역 조치가 하나의 자동화된 흐름으로 연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정부·민간, 첫 대규모 합동 훈련 돌입…3주간 14단계 '한몸처럼'
33개 기관은 팬데믹 발생에 대한 대응을 위해 실제 팬데믹 현상을 가정하고 합동 훈련에 돌입했다. 국내·외 대학생들이 실습교육을 받던 중 동물원 호랑이 사체로부터 AI에 감염된 사례다.
질병청 진단관리총괄과는 곧바로 회의를 열었다. 질병청 신종병원체분석과에서 개발한 '진단검사법'을 이용한 AI 인체감염증 진단시약 비상생산을 가동하고 식약처에 감염병 진단시약에 대한 긴급사용승인 시행 협조를 구했다.
식약처는 긴급사용승인 요건을 마련하고 공고를 냈다. 질병청 신종병원체분석과는 AI 인체감염증 진단시약 시제품을 평가하고 결과를 회신했다. 비상생산기관은 본제품 생산을 가동하고 긴급사용승인을 요청했다.
식약처가 긴급사용승인을 가동하면 질병청 진단관리총괄과는 AI 진단검사에 대한 안내를 시작했다. 질병청 신종병원체분석과는 진단시약 검사방법 교육 참여를 요청하고 교육을 실시했다.

비상생산기관은 현장에 진단시약을 배포했다. 질병대응센터,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의료기관은 비상생산된 진단시약에 대해 자체 평가한 후 결과를 정부에 회신했다. 총 14단계 훈련이 19일 동안 톱니바퀴 맞물리듯 이뤄졌다.
33개 기관은 지난 22일 마지막으로 종합토의를 열었다. 실제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시약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 확보 등이 원활할 경우 19일의 기간이 단축될 수 있을 것 같다는 결론이 나왔다.
모의훈련에 참여한 질병청 관계자는 "토론 형식을 벗어나 전 과정을 실제로 시행했다"며 "팬데믹 징후를 감지하자마자 시약을 생산하고, 성능을 검증해 긴급사용 승인에 대한 절차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검사기관 배포하여 검사를 시행하는 절차를 모든 기관이 사전 검토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훈련을 통해 각 기관에서 조율이 필요하거나 미흡했던 점을 팬데믹 발생 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좋았다"고 후일담을 전했다.
sdk1991@newspim.com



![[2025 국감] 제주항공 사고에도 조류충동 대책 '빈손'…국토부 "단계적 도입"](https://img.newspim.com/news/2025/10/27/2510271818228170.jpg)
![김장철 불량 고춧가루, AI가 잡아낸다 [팩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7/e9a5777a-459f-4584-a6ad-0bd01f4c960b.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