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일 외교 분쟁이 심화하면서 중국인들의 일본행 항공편 무더기 취소 사태가 벌어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8일 중국 항공사의 일본행 항공권 취소가 49만1000건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현지 민항 분석가 리한밍(李瀚明)에 따르면, 15일 이후 발생한 이 취소 건수는 항공사들의 '인기 노선' 전체의 32%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16일 항공편의 82.14%, 17일 항공편의 75.6%가 취소됐다.
이는 중국 당국의 강력한 일본 방문 제한 조치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외교부는 14일 밤 SNS를 통해 "일본 치안이 불안정하고 중국인을 노린 범죄가 다발하고 있다"며 "가까운 시일 내 일본 여행을 자제하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에 발맞춰 중국 항공사들은 오는 12월 31일까지 예약한 일본행 항공편에 대한 전액 환불 조치에 나섰다. 16일에는 중국 교육부가 일본 유학 자제 방침을 발표하면서 제한 조치가 교육 분야까지 확대됐다.
리한밍은 "16일의 항공권 취소 건수는 신규 예약의 27배에 달했으며, 이는 안전 우려가 여행의 주요 요인임을 보여준다"며 "2020년 초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될 때를 제외하면 이같은 규모의 취소 사례는 전무하다"고 설명했다. 상하이(上海)-도쿄(東京) 및 상하이-오사카(大阪) 항공편이 취소로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왕복 항공권의 70%에 해당하는 환불된 항공권으로 인한 총 손실이 수십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조치가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강경 발언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현직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가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중국을 강하게 자극했다.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가 "더러운 목을 베어버릴 수밖에 없다"며 반발했고, 일본에서는 이 외교관을 추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중국은 13일 주중 일본 대사를 심야에 불러 항의했고, 14일에는 주일 중국 대사가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을 만나 항의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 철회 의사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 같은 조치가 일본보다 중국 여행업계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영국 항공 정보 회사 OAG의 수석 애널리스트 존 그랜트는 "중국-일본 시장은 중국 기반 항공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5개 항공사가 모두 중국 회사인 만큼 중국 항공사에 더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3분기까지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가운데 중국인이 748만 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인 여행객이 지난 3분기 일본에서 쓴 금액은 5901억 엔(약 5조5000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소비의 28%에 달했다. 일본학생지원기구(JASSO)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일본 내 중국인 유학생은 12만3485명으로 전체 유학생의 36.7%를 차지했다.
![[AI의 종목 이야기] 中 항공사, 일본 항공편 취소...한국 1위 여행지로](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데스크 칼럼] '정보전' 현실이다](https://img.newspim.com/news/2023/08/28/2308280635446140.jpg)




![여행 자제 이어 영화도 제한… 성난 중국 ‘한일령’ 본격화 [뉴스 투데이]](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2025111851690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