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일반 대학생, 직장인, 스타트업 등 소규모지만 잠재력 있는 한국형 K-AI 인재를 발굴해 민간에서 의료·에너지·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서비스·모델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올
해 처음 열린 AI 챔피언 경진대회를 해마다 여는 한편, 내년에는 상금과 지원 규모도 확대해 더 많은 AI 인재를 육성하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10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과기부와 함께 AI 챔피언 대회 참가팀의 인재풀과 역량·성과 등을 분석하며 내년도 예산 증액 규모를 논의하고 있다. 특히 본선 진출팀과 탈락팀 간의 우열을 가리기 어렵고 전반적인 수준이 높다고 판단하면 내년부터 대회 규모를 더욱 키워 연구개발(R&D) 지원액과 상금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에 AI 챔피언 경진대회 신설을 위한 예산 100억 원을 처음 반영했다. 1회 AI 챔피언 경진대회는 우승팀에 최대 30억 원의 연구개발(R&D) 후속 자금을 지원하는 파격 조건을 내걸었다. 지난달 23일까지 의료, 금융, 에너지, 재난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총 630개 연구팀(3410명)이 출전했다. 최대 20개 팀이 본선에 오르며, 오는 11월 초 최종 우승팀이 결정된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우승팀만 후속 연구비를 받고 나머지 팀은 500만 원 상금에 그친다. 이에 정부는 더 많은 팀이 R&D 자금을 받고, 본선 진출팀 상금도 대폭 올려 AI 인재를 키워보겠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I 경진대회를 통해 대학생이나 일반인 AI 스타를 키워내고 민간 AI 서비스 모델 확산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경진대회는 한 번 시작하면 계속해야 한다"면서 "규모는 작지만 진주 같은 인재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 관계자는 “의료, 에너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특화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장관도 5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만난 자리에서 “데이터 활용과 AI 인재양성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AI 인재 양성을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