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한입] ② 파리지앵 입맛 사로잡은 K-쌀…이젠 고급화 전략

2025-10-29

프랑스, 김밥·라면·떡볶이 등 K-푸드 열풍

전남 담양쌀 수입·유통하는 '에이스 마트'

올해 200톤 수출물량 체결…한식당 '인기'

향후 2~3년은 정부 수출지원금 지원 필요

한류 열풍을 탄 'K-푸드'는 연간 수출액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농식품 수출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쌀'과 '포도'는 새로운 수출 활로를 찾고 있는 전략 품목이다. 특히 국산 쌀은 프랑스 등 신시장 개척에 성공했으며, 포도의 경우 신품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뉴스핌>은 변화의 현장을 직접 조명하며, 세계 속에서 확장 중인 K-푸드의 가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글싣는 순서] 세계의 한입

① "우리쌀 프랑스 가불었당께"…K-쌀 수출 실적 '쑥'

② 파리지앵 입맛 사로잡은 K-쌀…이젠 고급화 전략

③ K-푸드 숨은 공신 '샤인머스캣'…품종 다변화 변신

④ 슈팅스타·코코볼·홍주씨들리스…아시아 부터 공략

[파리=뉴스핌] 이정아 기자 = 지난달 5일 찾은 루브르 박물관이 보이는 파리 1구 골목길. 한글 간판이 걸린 '에이스마트(ACE Mart)' 앞은 평일에도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매장 안으로 들어서자, 김밥 판매대 앞에 줄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불고기 김밥과 돈가스 김밥을 고르는 손님들 사이로 고소한 향이 퍼졌고, 라면과 김치 코너에는 프랑스인 부부와 젊은 여성들이 진열대 앞을 서성였다.

뒤를 돌자, 초록색으로 된 포대가 눈에 띄었다. 그 위에는 'K-Rice', 한국 쌀에 대한 설명이 쓰여 있었다. 특히 전남 담양의 '풍요로운 쌀'이 현지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한때 프리미엄 일본 쌀과 저가 베트남 쌀이 차지하던 자리를 이제 한국 쌀이 중앙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승근 에이스푸드 매니저는 매대 앞을 지나며 "예전에는 일본 쌀을 찾는 고객이 압도적이었어요. 그런데 요즘은 한국 쌀을 찾는 고객도 상당합니다"라고 말했다. 에이스푸드는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파리의 한인 식품점을 인수하며 유통업에 뛰어들었다. 당시에는 교민 대상 작은 가게였지만 지금은 파리 전역에 6개 매장과 물류창고를 둔 연 매출 2000만유로(약 339억원)의 종합 유통기업으로 성장했다.

이승근 매니저는 "예전엔 한인을 상대로 한 교민용 가게였다면 지금은 고객의 80%가 현지 프랑스인"이라며 "BTS나 K-드라마 덕분에 K-푸드에 관심을 가진 젊은 프랑스인이 많아요. 그들이 김치나 떡볶이뿐 아니라 'K-푸드'를 맛보면서 자연스럽게 쌀로 관심이 옮겨졌습니다"라고 했다. 매장에서 만난 프랑스인 클레르(21) 양은 "K-드라마에서 보던 비빔밥이 궁금해서 한식당을 찾았는데 너무 맛있어서 놀랐다"며 "그 이후로 한국 쌀을 사서 직접 요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스푸드가 한국 쌀을 본격적으로 수입하기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다. 당시 국내 한 지역 쌀을 수입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이승근 매니저는 "힘들게 한국 쌀을 수입했는데 이상하게 창고에 쌓아둔 쌀들이 전부 상해버렸습니다. 2년이 지나도 멀쩡한 일본 쌀과는 품질의 차이가 천지 차이였습니다"라고 회상했다.

결국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일본 현지 공장을 찾아간 이승근 매니저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했다. 일본 현지 사장이 건넨 "우린 이미 30년 전에 그 문제를 겪었어요"라는 말 한마디가 전환점이 됐다. 그는 한국으로 돌아와 전국의 모든 미곡종합처리장(RPC)을 방문해 위생과 보관 시스템을 점검했다. 그리고 전남 담양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과 수출 계약을 맺었다.

에이스푸드가 전남 담양 쌀을 수입, 유통하면서 이전과 같은 문제는 사라졌다. 첫해 20톤으로 시작한 담양 쌀은 올해 200톤까지 껑충 뛰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프랑스 수출량은 지난 2022년 32톤에서 지난해 205톤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이중 상당 부분이 전남 담양RPC의 수출량인 것이다.

이승근 매니저는 "처음엔 손해 볼 각오로 담양 쌀을 들여왔습니다. 하지만 현지에서 먼저 반응이 바뀌더군요. '쌀이 윤기난다', '어떤 품종을 사용하냐'는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담양 쌀이 초록색 포장지를 사용하는데, 매장에 들어오자마자 초록 쌀 달라는 손님이 많습니다. 이제는 매출도 잘 나오는, 우리 매장 1등 제품"이라며 웃었다.

담양 쌀 수출에는 정부와 농협중앙회 그리고 지자체의 노력이 숨어있다. 쌀값이 폭락했던 지난해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이 프랑스 내 K-푸드 현장 점검을 위해 이곳 에이스마트를 찾았다가, 국산 쌀의 고전을 보고 RPC 매입 단가를 조정해 줬다. 이승근 매니저는 "일본산 쌀이 여기선 35유로 선으로 프리미엄 가격을 고수하는데, 한국 쌀은 그보다 밑인 25유로 내외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 쌀보다도 낮은 수준"이라며 "식당 도매단가는 그보다 더 저렴하게 유통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이승근 매니저는 파리에 위치한 한식당 '순그릴마레(Soon Grill Marais)'를 언급했다. 이곳은 농협 쌀을 사용하는 대표 한식 레스토랑으로, 지난달 농협으로부터 '한국 쌀 인증 현판식'을 받은 곳이다. "순그릴마레는 미쉐린 후보에 들 정도로 하이 퀄리티를 가진 레스토랑으로 한국산 쌀을 사용한다는 것만으로도 그 품질이 보장된다"며 "업체와 미팅을 할 때 이곳에서 한식을 대접하면 밥맛이 다르다고 직접 말합니다"라고 전했다.

최근 담양 쌀은 프랑스 대형 유통망에도 발을 들였다. 이승근 매니저는 "인터마르셰(Intermarché) 한 점포에 처음으로 담양 쌀이 들어갑니다. 안 팔려도 괜찮아요. 일단 진열대 위에 올려놓는 게 중요합니다. 한번 먹어보는 게 중요하니까요. 한국 쌀을 맛보고 지금까지 먹었던 쌀과는 품질이 다르다는 걸 보여줘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 시장에 한국 쌀을 뿌리내리는 일은 최소 2~3년을 바라봐야 합니다. 한국 쌀 수출 판로 확보를 위해 지금과 같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합니다"라고 강조했다.

※ 본 기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025년 FTA 분야 교육·홍보사업 지원으로 제작됐습니다.

plum@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