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덜란드 조기 총선에서 중도 계열과 극우 정당이 개표 막판까지 초접전 대결 끝에 동률 1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30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전날 치러진 네덜란드 총선 개표가 이날 현재 약 99%가량 마무리된 가운데 중도 좌파 성향 정당 D66와 극우 자유당(PVV)모두 26석씩을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다.
PVV는 직전인 2023년 11월 총선에서 37석을 확보하고 단독 1위 돌풍을 일으켰으나 이번에는 11석을 잃었다.
‘유럽판 트럼프’로 불리는 헤이르트 빌더르스 PVV 대표는 기존 연립정부에서 강경한 이민정책을 추진하려 했으나 연정 내 다른 정당들이 거부하자 스스로 연정을 붕괴시켰다.
직전 총선처럼 돌풍을 일으켜 새롭게 연정을 꾸리겠다는 구상이었지만 2년 만에 유권자 상당수가 등을 돌렸다.
이번 총선을 앞두고 대부분 정당이 PVV와는 협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의석수 기준 1위 동률을 기록하고도 PVV가 연정에는 참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사회 정책 공약은 진보적이며 경제 관련해서는 중도 자유주의 성향을 추구하는 정당인 D66은 직전 총선(9석)보다 17석을 더 확보했다. 1966년 창당 이래 최대 승리로 평가된다.
정부 구성권은 PVV와 달리 다른 정당과 협력이 수월할 것으로 보이는 D66가 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외신들은 만 38세이며 게이로 커밍아웃한 롭 예턴 D66 대표가 차기 총리로 취임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주류 정당들이 빌더르스 대표와 함께 집권하지 않겠다는 뜻을 고수하면 예턴 대표는 최초의 오픈리 게이 총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예턴 대표는 전날 출구조사 발표 직후 지지자들에게 “우리가 해냈다. 유권자들은 증오의 정치에 작별을 고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총선 유세 기간 네덜란드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는 주택난 해소 관련 공약을 앞세웠다. 이민 문제에 대해서는 해외 전문인력은 유치하되 경제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노동력은 줄이는 것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며 PVV와 차별을 뒀다.
![[김영곤의 아침햇살] 국회의원에게 어떤 점수를 주시겠습니까](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3/01/15/.cache/512/20230115580180.png)
![[김광덕 칼럼] ‘소퍼모어 징크스’ 벗어날까](https://newsimg.sedaily.com/2025/10/30/2GZDP6RKTV_1.jpg)



![푸틴의 장기집권 수법이 “너무 귀엽다”는 트럼프 [김태훈의 의미 또는 재미]](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51376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