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년의 외침]① 34년전 깨진 위안부 침묵, 故김학순 한마디 "나를 사용하라"

2025-08-14

첫 증언 이끈 1세대 활동가 김혜원·윤영애씨 인터뷰

"'기생관광'에서 출발한 분노, 위안부 피해까지 드러내"

1991년, 故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지 34년이 지났습니다. 김 할머니의 용기 있는 첫 증언은 국내외 피해 여성들의 연이은 증언과 전 세계적 연대로 확산됐습니다. 뉴스핌은 8월 14일 '위안부 기림일을 맞아 [34년의 외침] 기획을 통해 지난 34년간 이어져 온 위안부 피해자들의 '외침'과 그 의미를 되짚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위안부 문제는 민족 차별, 성차별, 계급 차별 이 모든 게 녹아있는 문제야. 성폭행당한 게 창피한 게 아니라 잘못을 저지른 가해자가 창피해야 할 일인데 할머니들이 부끄러워서 얼굴을 늘 가렸어. 나중에는 당당하게 일본 대사관 앞에서 '부끄러운 건 너희야!'라고 외쳤지"

14일 뉴스핌과 인터뷰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정의기억연대 전신)의 창립 구성원이자 1세대 활동가인 김혜원 씨는 (90세·여) 씨는 일본 위안부 운동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김 씨는 1991년 8월 14일 국내 최초로 위안부 피해를 공개 증언한 고(故) 김학순(1924~1997) 할머니를 지원한 인물이다.

◆ 기생관광 반대에서 시작된 위안부 진상규명

김 할머니의 증언 전까지 일본군 위안부는 소문으로만 존재하는 실체 없는 이야기였다. 당시 일본은 "그런 사실이 없었다"며 전면 부인했다. 국내에서도 가부장적 사고가 팽배했던 탓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김 씨는 "남자들은 징용에 갔다 왔다며 당당하게 피해 사실을 이야기하는데 성 착취를 당한 여자들은 숨기려고만 했다"며 "일본 위안부 피해자들은 집안의 불명예이자 수치스러운 일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당대 상황 속 국내에서 위안부 피해 최초 증언이 나올 수 있었던 건 김 씨를 비롯해 초기 여성 운동가들의 집요한 조사 덕분이었다. 시작은 기생(매춘) 관광부터였다. 1960~80년대 한국 정부는 암암리에 매춘을 외화벌이 수단으로 여기고 이를 묵인했다. 당시 김 씨가 활동하던 한국교회여성연합회(한교연)는 1970년대부터 기생 관광을 강하게 반대하는 단체였는데, 이들은 기생관광이 정신대 문제와 맞닿아 있다고도 여겼다.

당시 한교연 총무이자 김 할머니를 최초로 발굴한 윤영애 씨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는 총칼에 의해 여성들이 성노예가 됐다면 산업화 시대에는 돈에 의해 여성의 몸이 희생당한다고 여겨 기생관광을 '신정신대'로 불렀다"고 말했다.

그러던 중 1988년 서울 88올림픽을 앞두고 미국 포르노 잡지 <허슬러>가 '한국이 기생 관광 천국인 나라'라며 한국에 방문해 이를 즐기라는 취지의 기사를 냈다. 일본에서도 '한국에 가면 인삼을 먹고 섹스를 즐겨라'는 식의 광고가 판을 친다는 소리가 들려왔다. 한교연 활동가들은 크게 분노했다.

김 씨는 "우리가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며 "기생 관광 반대 차원에서 1988년 2월 12일 열흘 동안 나를 포함한 세 사람(윤정옥 이화여대 영문학과 교수, 김신실 여성 활동가)이 조사단을 꾸려 일본 위안부 강제 연행 지역인 후쿠오카, 오키나와 등지를 조사하러 갔다"고 했다.

일본에서 돌아온 그들은 같은 해 4월 제주도에서 국제 세미나 '여성과 관광 문화'를 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국제사회에 발표했다. 이 세미나에는 10여 개국 나라에서 약 130명의 활동가가 참석했다. 해방 후 40년 넘게 알려지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에 공론화한 것이다.

◆ "다시는 이런 일 없어야"…김학순의 국내 최초 위안부 피해 증언

문제는 당시만 해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국내에 드러나지 않았다는 데 있었다. 한교연 등 여성단체에서는 1990년 11월 16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정의기억연대 전신)를 조직하고, 피해자를 찾아 나섰지만 쉽사리 만날 수 없었다.

그 와중에 이들이 주한 일본 대사관에 공개서한을 보내 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과 공식 사죄 등을 요구하며 움직이자 1991년 4월 24일 주한 일본대사관의 오노 참사관은 정대협 대표와 윤 씨를 불러 "일본 정부가 위안부를 강제 연행한 사실이 없다"며 "증거가 있다면 그때 가서 생각할 문제"라고 말했다.

윤 씨는 "그 말에 크게 분노했지만, 여전히 피해자를 찾기는 어려웠다"며 "그러다 그해 7월, 한교연이 지원하던 원폭 피해자의 소개로 김 할머니를 만났다"고 밝혔다.

윤 씨는 김 할머니의 만난 이후 공개를 차일피일 미룰 수밖에 없었다. 김 할머니의 증언은 충격적인 내용이었고, 이 증언이 공개된 이후 김 할머니에게 가해질 상처 등 우려가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할머니는 오히려 세상에 공개되기를 원했다. 윤씨와 첫 만남 직후 약 한 달 뒤인 8월 13일, 광복을 앞두고 언론에서 원폭 피해자들은 부각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언급되지 않자 김 할머니는 윤 씨에게 전화를 걸어 "윤 총무, 지금 뭐하냐! 나는 다 준비가 됐다. 일본에 사과받으면 족하다. '나를 사용 하라'"며 오히려 화를 냈다.

윤 씨는 "김 할머니는 처음 나에게 겪은 일을 이야기할 때도 '죽지 않고 살아 있는 건 내가 당한 일을 만천하에 고함으로써 다시는 이 땅에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는 하늘의 뜻'"이라고 말했다"며 "김 할머니의 강한 의지에 용기를 내 기자회견을 열었다"고 했다.

결국 김 할머니는 1991년 8월 14일 국내에서는 최초로 위안부 피해를 증언했다. 그간 드러나지 않았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역사에 등장한 것이다. 1975년 일본에서 배봉기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를 밝힌 지 16년 만에 이뤄진 일이다.

chogiza@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