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윤리위원회 징계 절차 돌입에 반발했다.
한 전 대표는 18일 페이스북에 “헌법가치를 지켜야 할 보수정당이 ‘계몽령자들’과 ‘강제 후보교체자들’ 대신 그걸 비판한 사람을 ‘입틀막’ 징계하는, 진짜 망하는 길로 가려 한다”며 “그 길로 가면 안 된다”고 밝혔다.

앞서 당 윤리위는 지난 17일 김 전 최고위원에게 징계 회부 통지서를 보냈다.
윤리위는 해당 문서에서 “국민의힘 중앙윤리위는 징계 심의 대상자에 대한 징계 안건 회부를 통보한다”고 밝혔다. 사유에 대해서는 “개인 SNS 및 방송에서 당 대선 후보 비판, 계파 갈등 조장, 당 여론조사 의혹 제기 등과 같은 행위들이 당내 분열 조장, 당의 위신 훼손으로 보여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윤리위 규정 제20조 제3항을 근거로 징계정차 개시를 의결한다고 알렸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통지서를 공개하며 “어이가 없어 헛웃음이 나온다”고 받아쳤다.
그는 “당 대선후보 비방? 새벽 당내 쿠데타를 감행한 분들은 놔두고?”라며 “계파갈등 조장을 말하려면 전 국민이 조롱하는 보통명사가 된 친윤부터 문제 삼아라”고 했다.
이어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중국간첩단 등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윤어게인을 외치고, 슬그머니 입당해 10만명을 동원해 사실상 부정경선을 치르겠다고 공언하고 있는 전한길씨부터 윤리에 문제가 없는지 조사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엄한 사람 ‘입틀막’하면서 협박 분위기 조성하지 마라”며 “이런 항의도 당의 갈등을 조성하고 명예를 훼손하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윤리위는 징계 사유와 관련해 징계를 청구한 요구자의 주장일 뿐 인정된 것은 아니고 회부 자체는 절차상 수순이라는 입장이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중앙일보에 “심리 개시를 한 것이고 9월 윤리위 때까지 소명자료를 제출하거나 본인(김 전 최고위원)이 직접 출석해 소명하라고 한 것”이라며 “소명을 다 들어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징계 안 하고 공람 종결도 할 수 있지만 요구된 것이니까 답변과 소명을 들어보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