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39% 관세폭탄 맞은 스위스 "협상안 수정하겠다"

2025-08-04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스위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39%의 고율 상호관세를 피하기 위해 협상안을 수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은 이날 RT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오는 4일 연방 내각 특별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르믈랭 장관은 "무슨 일이 있었는지, 왜 미국 대통령이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 완전히 이해해야 한다"며 "그 배경을 정확히 파악한 뒤에야 향후 대응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이 촉박해 7일까지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긴 어려울 수 있지만, 선의를 보이고 협상안을 조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스위스와의 무역수지 적자를 문제 삼고 있다며, 지난해 스위스의 대미 무역흑자가 385억 스위스프랑(약 66조 2389억 원)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와 스위스 기업의 미국 내 투자 확대가 협상 카드로 검토되고 있다. 파르믈랭 장관은 "EU도 LNG 구매를 약속한 바 있다. 스위스 역시 LNG를 수입하고 있어 협상 여지가 있다"며 "하지만 실질적인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미국이 무엇을 기대하는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할 수도 있다"면서도 "그것이 협상 지속의 충분한 기반이 되려면 미국 측 기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산 수입품에 3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31%에서 인상된 수치로, 스위스 정부는 예상보다 높은 관세에 적잖은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스위스산 시계, 제약, 기계류의 최대 수출 시장이기도 하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과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은 전화통화를 진행했지만, 스위스 측이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와 관련한 구체적인 양보안을 제시하지 않자 트럼프 대통령이 불쾌감을 드러냈고, 이후 관세 인상을 결정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다만 로이터가 인용한 스위스 정부 소식통은 "통화는 성공적이지 않았고, 스위스에 유리한 결과도 없었다"면서도 "말다툼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초부터 10% 관세로는 충분치 않다는 확고한 입장을 갖고 있었다"고 전했다.

wonjc6@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