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A '글로벌 경상용 전기차 및 PBV 시장 동향' 보고서 발표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탄소중립 및 도심 대기질 개선을 위해 경상용 전기차와 목적기반차량(PBV)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경상용 전기차와 PBV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은 '글로벌 경상용 전기차 및 PBV 시장 동향' 보고서를 15일 발표했다.

KAMA는 2024년 전 세계 경상용 전기차 판매량은 약 66만대로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으며 전체 경상용차의 약 7%를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전년 대비 90% 성장한 45만 대를 기록하며 시장을 주도했고, 유럽은 11.7만 대로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지난해 경상용 전기차가 2.1만 대 판매되며 전년 대비 52% 감소했다.
1톤 전기트럭은 초기에는 높은 판매를 보였지만 짧은 주행거리와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수요가 LPG 트럭으로 이동하고 있는 반면, 중국산 전기밴은 다양한 모델과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현대차는 2024년 모듈형 상용차 플랫폼 'ST1', KGM은 '무쏘EV' 픽업트럭을 출시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기아는 최근 PBV 전용 플랫폼 'PV5'를 선보였다.
유럽은 증가하는 PBV 수요에 대응하여 르노-볼보-CMA(물류기업)가 합작한 전기밴 전문기업 '플렉시스'가 내년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중국 CATL 또한 자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경상용 EV 플랫폼 'Kunshi'를 공개했다.
KAMA는 PBV의 시장 확대 필요성을 환경, 경제성, 수요 측면에서 제시했다. 환경 측면에서는 경상용차는 차량 비중은 약 7%에 불과하지만 탄소 배출 비중은 10%에 달하며, 도심 내 물류·통학용으로 활용돼 대기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우선적인 자동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차량 구매, 운영비, 연료비 등을 포함한 총소유비용(TCO) 측면에서 전기 상용차는 내연기관차보다 경쟁력이 높아지는 추세가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수요 측면에서는 기업의 탄소 감축, 라스트마일 배송 확대 등으로 아마존, 월마트 등 글로벌 물류기업의 전기밴 도입 확대 중이며, 어린이·고령자·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이동수단으로서 PBV 수요가 증가 중이라고 강조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PBV는 향후 자율주행 기술과 결합해 무인 배송, 무인 셔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플랫폼"이라며 "PBV 보급 확대는 온실가스 감축과 대기질 개선, 그리고 국내 제조사의 상용차 수출 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PBV의 국내 제조기반 유지를 위해 국내 생산 차량에 대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더불어 시장 활성화를 위해 물류센터, 복지시설, 유치원, 학원 등 주요 수요처에 충전설비 구축이 지원되어야 한다"고 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