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5일째인 10일, 중앙사고수습본부가 4ㆍ6호기 발파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르면 11일 낮 12시께 발파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매몰자 수색 작업도 재개될 전망이다.
중앙수습본부는 붕괴된 보일러 타워 5호기 인근에 있는 4호기의 기울어진 정도가 발파 허용범위 내외로 측정됐다고 밝혔다.
4호기에 대한 계측작업을 실시한 결과 4호기의 기울어진 정도가 허용범위 내로 측정됐으며 6호기는 취약한 작업이 계측 없이 발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됐다.
경찰은 이날 오후 6시부터 인력과 장비를 대피하고 차량 진입 등을 통제하는 안전구역 설정 작업을 진행했다.
안전구역은 발파 지점으로부터 반경 300m로 설정 됐으며 경찰은 안전구역 안으로 차량 등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주변 도로를 막고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
오영민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감독국장은 브리핑을 통해 "현재 보일러 타워 구조는 코리아카코가 가장 많이 알고 있다"며 "다른 업체가 맡는다면 이후 작업계획서를 다시 짜는 등 시간이 더 소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일러 타워 4호기와 6호기는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에 30m 간격으로 위치하며 4ㆍ 6호기의 발파는 목표한 방향으로 붕괴를 유도하는 '지향성 발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작업은 700t급 등 대형 크레인 대신 소형 크레인과 굴삭기 등으로 잔해를 고정한 뒤 절단해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작업으로 공간이나 통로 등이 확보되면, 매몰자 확인과 구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수본은 발파 설계 단계부터 잔해 낙하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해 피해를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또 매몰자 가족을 회의에 참여시키고 모든 작업과 일정을 공유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투명하게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김보현 기자
[저작권자ⓒ 울산종합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서두르다 참사 냈나···울산화력 보일러동 철거, 계획 대비 6개월 이상 지연](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10/news-p.v1.20251109.81a81ef0be23401aa611f5735b15e9fb_P1.webp)
![[단독]울산화력 보일러동 기둥, 계획보다 더 잘랐나···전문가 “계획서 도면하고 안맞아”](https://img.khan.co.kr/news/2025/11/11/news-p.v1.20251111.d723ac524dc04303b5449d10516999ed_P1.gif)
![[단독]10억 들여 ‘외부 안전감리’ 추가 고용했지만 “현장에 없었다”···참사 못 막은 동서발전](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10/news-p.v1.20251106.caa4168cd019473b9f5ce734b63bf2ae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