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경상수지 흑자행진…"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

2025-07-04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100억 달러 넘는 흑자를 기록하며 25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하지만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철강의 부진으로 수출이 넉 달 만에 감소하는 등 미국 관세의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101억 4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흑자 규모는 전월(57억 달러)이나 지난해 5월(90억 9000만 달러)을 크게 웃돌았다. 5월 기준으로는 2021년(113억 1000만 달러)과 2016년(104억 9000만 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흑자 폭이다.

항목 별로 보면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106억 60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전월(89억 9000만 달러)보다 17억 달러 가량 불었고 지난해 5월(88억 2000만 달러)보다 18억달러 이상 많다. 수출이 569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보다 2.9% 줄었지만 수입이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7.2% 감소한 462억 7000만 달러를 기록해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됐다.

수출은 반도체 호조에도 불구하고 미국 관세 영향을 받는 철강, 자동차 부진으로 올 1월 이후 넉 달 만에 전년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5월 철강 제품, 자동차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 보다 각각 9.6%, 5.6% 줄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품목 관세 대상인 자동차와 철강을 중심으로 미국 관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관세 인상분의 판매가격 전가 등이 본격 시작되면 하반기에 자동차 수출 등에서 관세 영향이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비스수지는 22억 8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28억 3000만 달러)과 비교해 줄었지만 작년 같은 달(-12억2000만 달러)보다는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9억 5000만 달러)의 경우 5월 연휴 중 해외 여행객 증가로 적자가 4월(-5억 달러)보다 늘었다. 본원소득수지는 4월 1억 9000만 달러 적자에서 5월 21억 50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4월 외국인 대상 배당 지급이 집중되는 계절적 요인이 사라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