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소환위원회 신설, 전당원 투표...심의 및 최종결정권은 위원회 부여"
"최고위 폐지 대신 권역별 선출...전국 정당으로 민심 반영 기대"
4인 거취 요구 관련 "위원장 개인 의견일 뿐...추가 명단 논의 가능성 있어"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당원주도 인적쇄신'을 위한 제3호 혁신안을 비상대책위원회에 상정했다. 최고위원제는 폐지 대신 권역별 선출 방식으로 변경하는 대안을 제시하며 전국 정당화를 꾀하겠다는 입장이다.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18일 중앙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혁신위 출범 이후 마련한 1·2·3호 혁신안이 모두 비대위에 부의된 상태이며 오늘 회의에서는 4호 안건도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호 대변인은 "현재는 최고위원 등 일부만 대상이지만, 이를 확대해 현출직 선출자·당직자 전원을 당원소환 대상으로 삼겠다"며 "청구 기준도 대폭 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소환 가능 의결 수치는 내부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당원소환위원회'를 신설해 청구된 안건을 전당원 투표에 부치고 심의 및 최종결정권을 위원회에 부여하겠다"며 "해당 제도는 향후 총선 공천과도 연계돼 문제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해 조기공천을 통해 공천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시도당 중심 정당체제를 제안한 2호 혁신안과 관련해 혁신위는 최고위원제 폐지를 두고 당내 이견이 있자 대안으로 '권역별 최고위원 선출안'을 마련했다.
호 대변인은 "권역별 당원투표로 최고위원을 뽑는 안을 제시했다"며 "전국 정당으로서 민심을 반영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언급한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과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에 대한 거취 공개 요구와 관련해선 "위원장 개인의견일 뿐 혁신위 전체 논의는 아니며 추가 명단이 논의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선을 그었다.
논란이 됐던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의 입당에 대해선 "송언석 원내대표가 적절한 조치를 하기로 해 더 논의하지 않았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혁신위는 제도를 제안하는 역할을 할 뿐이며 최종 의사결정은 비대위와 지도부의 몫"이라며 "당원과 민심의 뜻을 당 운영에 반영할 제도적 길을 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