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승을 거둔 지난해 총선에 이어 이번 대선에서도 ‘골목지도’를 활용한 선거운동을 펼친다.
30일 민주당에 따르면, 각 시도당은 조기 대선이 확정된 이달 초 각 지역위원회에 ‘데이터기반 골목지도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또 대선 후보가 이재명 후보로 확정된 후엔 희망하는 지역위원회 인원들에 한해 사용법 설명회를 하나둘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선 서울 용산과 마포갑, 도봉갑 등 국민의힘 의원이 현역인 지역위원회와 서초·강남·송파 등 강남 3구와 같이 전통의 민주당 험지에서 요청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이 보유한 ‘데이터기반 골목지도’는 동별 투표소 개표결과와 시간대별 유동인구를 표시한 통신사 빅데이터를 혼합한 방식이다. 각 투표소를 민주당 지지도가 높은 투표소(A등급)와 지지도가 낮은 투표소(C등급)로 나누고, 최근 들어 지지율이 역전된 곳은 별도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은 지역구 의석 254석 중 161석을 휩쓸었는데, 선거에 처음 도전한 초선 의원들에게는 적잖은 도움이 됐다고 한다. 예컨대 A등급 투표소 지역에는 당원 결집을 끌어올릴 수 있는 현수막을 내걸고, C등급 투표소 지역에는 스스로 몸을 낮춘 방식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거는 방식이다. 이러한 골목지도는 선거운동원에까지 공유, 일사불란한 선거운동을 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초선 의원실 관계자는 “의원이 선거는 처음이라 적응이 어려웠는데 지도를 받아보고 전략을 세울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다선 의원실 관계자는 해당 지도와 관련 “이미 노하우가 많이 쌓인 다선 의원실의 경우에는 그렇게까지 효과적인 내용은 아니었다”고 전했다.
한편 민주당은 지역위원회별로 득표율에 따라 차기 총선 공천에서 의원평가를 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지난 2022년 대선에서도 비슷한 방식의 평가를 도입한 바 있다. 당해 6월 지방선거 공천 시점을 늦춤과 동시에 지역별 득표율 등 대선 기여도 평가를 지방선거 공천에 반영하겠다는 취지였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후보와 함께 사진 찍을 생각보다는 동네 골목에 가서 선거운동에 더욱 집중하라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김현우 기자 wit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