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서울~양평 고속도로 현장을 방문하며 특검 수사에 대한 전폭적인 협조 의사를 밝혔다. 김 지사는 양평군 양서면 청계리의 고속도로 원안 종점에서 이번 논란의 핵심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이 도구로 활용된 정황이 명백하다”며, 특검이 “누가, 왜, 어떻게 이런 일을 만들어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게 피해를 줬는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의 원안은 서울 송파구 오금동에서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까지 27.0km를 잇는 노선이다. 그러나 정권 출범 직후인 2022년 5월, 이 노선은 돌연 변경됐고 종점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사업비는 1조 7,694억 원에서 1조 8,661억 원으로 1,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 변경안으로 인해 강상면에 위치한 김건희 일가의 토지가 주목받으며, 땅값 상승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커졌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에 대해 사업 자체를 백지화하며 논란이 일었다. 김동연 지사는 “이제는 원안대로 빨리 추진하는 것이 답”이라며, 경기도가 중앙정부와 협력해 사업 재개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경기도가 자료의 임의 제출까지 해서라도 특검이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밝히는 데 선제적으로 협조하라”고 지시했다.
특검은 김건희 특검팀이 지난 7월 출범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김선교 의원, 양평군청 공무원 등 주요 관련자들이 출국금지 조치를 받았다. 김 지사는 “특검이 ‘누가, 왜, 어떻게’에 대한 답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사건이 권력을 사익을 위해 사용한 사례로 밝혀질 가능성을 언급했다.
김동연 지사는 서울~양양 고속도로와의 연계를 염두에 둔 원안이 합리적이라며, 이 사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는 새 정부와 국정기획위원회 및 관련 부처와 협의해 당초 안대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특검의 수사 방향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특검이 주요 관련자들을 출국금지 시킨 조치는 타당하다”며, 원희룡 전 장관과 관련자들이 수사에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 “그분들은 특검에 협조해 고해성사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한 협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