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내달 1일까지 ‘상호관세 유예’…李 정부 외교 시험대

2025-07-0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한국을 포함한 14개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오는 8월 1일까지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무역 상대국들에 각각 25~40%의 국가별 상호관세가 적시된 ‘관세 서한’을 보내 이를 다음 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일본은 24%에서 25%로 소폭 인상됐고, 한국은 25%로 유지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조치 시한 추가 협상을 시사함에 따라 우리 정부는 향후 3주간 관세 협상 ‘총력전’에 나설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관세 유예 시한의 최종 여부에 관해 “최종 제안이지만 협상에 달려있다”며 “상대국이 만약 더 마음에 드는 제안을 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이 남은 3주간 총력 외교와 통상 전략 조율로 미국 관세 부과를 막아내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우선 대통령실은 8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통상 현안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기재부 등 관계부처가 서한의 내용을 분석하고 여러 발생 상황의 변화와 충격 등을 전반적으로 점검했다.

정치권에서는 미국의 관세 서한에 대해 엇갈린 목소리가 나온다.

김지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SNS에 “동맹을 말하면서 관세 폭탄이라니, 트럼프의 경제 갑질에 단호히 맞서야 한다. 국익 앞에 여야는 없다”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동맹은 상호존중이 전제될 때 비로소 의미가 있다. 사전 협의 없이 통보되고, 한국의 산업과 일자리를 위협하는 일방적 관세 조치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정치권이 국익 앞에 하나로 뭉쳐야 한다”며 “정쟁을 멈추고, 여야가 초당적으로 단일대오를 이뤄 경제 주권과 산업 안보를 지켜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반면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SNS에 “임기 한 달이 지나도록 트럼프 대통령과 상견례조차 성사시키지 못한 무능한 정권이 만들어낸 참혹한 결과”라며 이재명 정부에게 책임을 돌렸다.

박 대변인은 “국정의 기본은 경제와 외교인데 시작부터 낙제점이다. 당장 오늘이라도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으로 달려가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교섭하라”고 요구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