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흡연·음주 경험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한 반면 가족과의 식사나 건강 관련 대화는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건강교육과 금연·금주 관련 미디어 노출은 줄고 흡연·음주 장면 노출은 늘어 청소년 건강행태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은 30일 국내 최초의 청소년 건강행태 장기추적조사인 ‘청소년건강패널조사’ 원시자료(2019~2023년)를 공개했다. 이 조사는 2019년 당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051명을 대상으로 시작해 매년 동일 집단을 추적하며 △흡연 △음주 △식습관 △신체활동 등 건강행태를 분석한 것이다. 2023년 기준 4243명이 조사에 참여해 패널 유지율은 84%에 달했다.
자료에 따르면 담배 제품 중 전자담배 사용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의 액상형 전자담배 현재 사용률은 1.19%, 여학생은 0.94%로 초등학교 6학년 당시엔 사실상 ‘0’에 가까웠던 것과 대조된다. 궐련형 전자담배도 고1 남학생 0.65%, 여학생 0.24%가 사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음주 역시 증가 추세다. ‘모금 기준’ 평생 음주 경험률은 초6 당시 36.4%에서 고1 시점 55.0%로 높아졌고 ‘잔 기준’으로는 7.5%에서 25.3%로 세 배 이상 상승했다. 현재 음주율도 0.7%에서 5.3%로 증가했다.
반면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가정·학교·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은 악화됐다. 부모와 매일 식사하는 비율은 초6 시기 66.3%에서 고1 시기 27.4%로 급감했고 건강 관련 대화를 ‘자주 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같은 기간 58.4%에서 39.5%로 떨어졌다.
학교에서 흡연 예방 교육을 받은 비율은 95.9%에서 71%로, 음주 예방 교육은 75.4%에서 45.7%로 줄어드는 등 학교 기반 건강교육의 범위도 좁아졌다. 금연 광고 노출 경험도 93.3%에서 74.2%로 감소한 반면 TV나 인터넷 등에서 흡연 장면 노출은 39.2%에서 58% 음주 장면 노출은 56.1%에서 70.5%로 크게 늘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 건강행태의 변화가 빠르게 이뤄지는 만큼 이번 장기 패널조사 원시자료가 실증 기반 정책 수립에 폭넓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며 “향후 논문경진대회, 학술대회 등을 통해 학계와 현장의 연구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기고] 치매 조기예측, 병원이 아닌 일상에서 시작된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3/news-p.v1.20251023.8d7ad36e64a74baf9403c42434f1f557_P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