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연체 채권 매입가율 지침에 반발해온 대부 업계가 배드뱅크 논의에 참여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이날 업권별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열고 장기 연체 채권 채무 조정 프로그램인 배드뱅크 사업의 세부 방침을 설명했다. 캠코와 업권 간 실무 논의는 그동안 진행됐지만 공식 간담회가 열린 것은 처음이다.
캠코는 이 자리에서 채권 매입가율 산정 방식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캠코는 이달 초부터 배드뱅크 자문사로 선정된 삼일회계법인컨소시엄과 매입가율 테이블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캠코 측은 연체 기간과 채무자 나이, 담보 유무 등을 가격 산정의 변수로 삼아 업권별로 동일한 산식을 적용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대부업권과의 간담회도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대부 업계는 배드뱅크의 채권 매입 및 소각에 동참하겠다는 큰 틀의 의견 조율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 업체들은 그동안 금융 당국이 제시한 연체 채권 평균 매입가율(액면가의 5%)을 두고 크게 반발해왔는데 결국 논의에 참여하기로 선회한 것이다. 이재명 정권의 대표적인 친서민 금융정책에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금융위원회가 업권에 대한 정책 인센티브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상황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배드뱅크 운영 논의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캠코는 10월부터 113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체 채권 매입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이다. 장기 연체 채권을 보유한 채무자들은 이르면 다음 달 말 배드뱅크 매입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손해를 볼 수 있어 여전히 가격에서는 불만이 많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