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학의 외국인 전담학과가 최근 2년 새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유학생 관리 체계 미비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29일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육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전담학과는 2024학년도 107개에서 2026학년도 335개로 늘었다. 2년 만에 세 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교육부는 2023년 8월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을 통해 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를 목표로, 정원과 무관하게 외국인만으로 학과를 구성할 수 있는 '외국인 전담학과' 제도를 도입했다.
외국인 전담학과는 2024학년도 107개에서 2026학년도 335개로 확대됐으며, 수도권 대학은 43개에서 115개로, 전문대학은 2개에서 24개로 급증했다. 수도권 비중은 2024학년도 42.1%에서 2026학년도 41.5%로, 절반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외국인 전담학과 입학생은 4518명으로, 이 가운데 수도권 대학 입학생이 2235명(49.5%)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소재 대학에서도 외국인 전담학과 운영이 확인됐다. 2025년 기준 고려대, 이화여대 등 11개 대학이 16개 학과를 운영 중이며, 입학생 886명 가운데 언어능력 기준을 충족한 유학생은 476명(53.7%)으로 집계됐다.
유학생 전담학과는 늘고 있지만, 유학생의 언어능력 충족률은 전국 평균 42.1%, 수도권 대학은 39.1%에 불과해, 학업 수행을 위한 기본 역량 관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승아 의원은 “지방대 중심이던 유학생 유치가 수도권으로 확산되며 규모는 커졌지만, 기초 언어 및 학업 역량 관리 체계가 여전히 미흡하다”면서 “교육부는 양적 확대 중심의 유학생 정책을 질적 관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유학생의 학업 역량을 체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
![[에듀플러스][유학에서 정주로]“유학은 쉬워도 정착은 어렵다…30만 유학생 현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8/news-p.v1.20251028.4055de8f150848488355fcf87f0bf827_P1.jpg)

![[2025 국감인물] 국회 교육위원회 김준혁(민주·수원정) 의원](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7235959406_812ee9.jpg)

![[2025 국감인물] 국회 교육위원회 김용태(국힘·포천가평) 의원](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6316029946_f61471.jpg)
![中서도 실종자 3배 늘어…“전반적 해외범죄 대응 시스템 강화해야”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6MVH4C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