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계란 가격…‘깜깜이 거래’ 확산 우려

2025-08-12

산란계협, 공정위 조사 이후 가격 발표 전격 중단

수급 상황 변동 불구 ‘마지막 발표 가격’ 기준 거래

현장서 덤핑‧웃돈 거래 발생…업계, 대책 마련 촉구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6월 대한산란계협회와 한국계란산업협회 등을 가격 담합 혐의로 조사한 이후, 산란계협회의 계란 시세 발표가 전격 중단되면서 계란 유통 시장에 큰 혼란이 생겨나고 있다.

기준이 되어야 할 가격 정보가 사라지자 ‘깜깜이 거래’가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 조사 이후 계란 가격 변동이 멈춰 현장의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한산란계협회 측에 따르면 최근 폭염의 영향으로 특란과 왕란은 물량이 부족한 반면, 대란 이하 계란은 생산량이 늘어 크기에 따른 가격 격차가 벌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가격 정보가 사라지면서 현장에서 통용되던 ‘기준 가격’에 대한 정보는 모습을 감춰버렸다.

여전히 현장에서는 산란계협회가 마지막에 발표한 시세가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

수개월이 지난 시세가 현재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면서 계란 생산 물량이 많은 농장에서는 덤핑 거래가, 부족한 농장에서는 웃돈 거래가 횡행하는 등 유통업계에서 그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곧 다가올 추석 성수기에도 유통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신력 있는 시세 발표가 없어 업계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는 계란 유통 현장의 혼선을 막기 위해 축산물품질평가원을 통해 주간 계란 수급 정보 자료를 배포하기 시작했다. 이는 산지 및 유통시장의 거래 현황에 따른 수급의 ‘강도’를 조사해 작성되는 것이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되지 않아 ‘무용지물’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계란산업협회 측은 “계란 유통 현장에서 혼선이 빚어저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한 결과 축평원의 자료가 배포되기 시작했지만 오히려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으며, 식용란선별포장업협회 역시 “축평원의 자료는 계란 가격과는 무관하며, 정부는 현장의 고충도 모른 채 계란 가격 발표와 관련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계란 가격과 관련, 농가와 유통인 모두 피해를 호소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