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연말까지 호남권에서 설비 용량 2.3GW 규모의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전력망에 연결하겠다고 밝혔다. 호남 지역은 발전 설비에 비해 전력망이 부족해 2031년까지 신규 발전 허가가 제한되고 있는데 허수사업자 발굴 등으로 확보한 물량에 한해 계통 접속을 허락하겠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이 같은 내용의 신규 발전 사업자 계통 접속 재개 계획을 밝혔다. 당초 산업부는 전라도와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 신규 발전사업자의 계통 접속을 차단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전력 수요에 비해 발전소가 많아 전력망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들 지역에서 발전소를 추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보강이 필요하지만 건설에 드는 물리적인 시간이 상당히 드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같은 방침이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를 가로막는다는 점이다. 이에 정부는 전력망이 확보되기 전에도 대기 중인 발전소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기존 전력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우선 정부는 전력망과 연결된 뒤에도 발전 사업을 하지 않고 있는 허수 사업자 물량 0.4GW를 회수했다. 또 송전망 혼잡기에 최우선 출력제어를 받는 조건으로 전력망에 접속하는 ‘배전단 유연접속’ 방식으로 1.9GW를 추가 확보했다. 출력제어는 전력 수요가 부족한 시기 전력망의 수요와 공급을 맞추기 위해 발전소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전기 생산량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발굴한 2.3GW의 물량을 대기 사업자에게 나눠줘 전력망 추가 부담 없이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전력 당국은 7~8월 공고·모집 절차를 통해 호남권에 해당 물량을 배분할 예정이다. 9월 이후에는 전국을 대상으로 허수 사업자를 확인하고 배전단 유연접속 물량을 확정해 10월부터 배분한다. 산업부는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혼란이 발생하는 일을 막기 위해 발전사업자·지방자치단체·주민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필요한 경우 개별 안내도 병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