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강자에서 디지털 선두로…신세계, 온라인 승부수 띄웠다

2025-08-05

신세계백화점 앱 전면 개편…'비욘드신세계'로 온라인 쇼핑 강화

기존 검색 중심에서 결제까지…원스톱 구매 서비스 구현

'비아신세계'로 프리미엄 여행 시장 공략…백화점 업계 첫 시도

여행·관광 수요 쇼핑과 직결…"새로운 형태 플랫폼 표방"

계열 분리 이후 독자 온라인 전략 가속…정유경 표 신세계 기대감↑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신세계백화점이 온라인 쇼핑 채널과 여행 플랫폼을 동시에 선보였다. 그룹 내 계열 분리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SSG닷컴을 대체할 자체 온라인 서비스를 구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백화점 업계 최초로 여행 사업에 뛰어든 것을 두고 프리미엄 고객을 겨냥한 차별화 전략으로 서비스 다각화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5일 신세계백화점은 공식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개편하고 '비욘드신세계'(온라인 쇼핑)와 '비아신세계'(프리미엄 여행) 두 가지 신규 서비스를 공개했다.

◆ 쇼핑·여행 채널 본격 공개

'비욘드신세계'는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2200여 개 브랜드 상품을 검색부터 결제까지 앱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채널이다. 기존에는 신세계백화점 앱에서 상품 검색만 가능했고 구매는 SSG닷컴으로 이동해야 했다. 이번 개편으로 백화점 고객은 별도의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쇼핑이 가능해졌다.

업계는 이번 론칭을 온라인 매출 확대와 동시에 계열 분리 대비 전략으로 해석한다. SSG닷컴이 이마트로 편입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자체 플랫폼으로 공백을 메우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다만 기존 SSG닷컴 서비스는 그대로 유지된다.

신세계백화점은 프리미엄 큐레이션 여행 플랫폼 '비아신세계'도 같은 날 공식 출범했다. 백화점 업계가 여행 서비스를 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에서는 새로운 서비스로 '여행'을 선택한 것에 대해 여행·관광 수요를 쇼핑으로 연결시켜 ㈜신세계 주력 사업인 백화점과 면세점과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에 유리하다는 판단을 했을 것이라고 본다. 신세계백화점 측은 비아신세계에 대해 "단순 패키지 상품 판매가 아니라 쇼핑·여행·라이프스타일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을 표방한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백화점 VIP 고객층의 여행·레저 수요 확대에도 부응한 것으로 보인다. 팬데믹 이후 여행시장은 단순 관광에서 벗어나 명사 동행, 체험 중심 소규모 여행으로 재편됐다. 일본 JTB, 프랑스 클럽메드 등 해외 여행사들 또한 휴양과 체험을 결합한 프리미엄 상품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는 추세다. 신세계는 이런 흐름을 벤치마킹하면서 VIP 고객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큐레이션으로 차별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 정유경표 신세계, 본격 독자 행보

업계에서는 이번 개편을 두고 "정유경 회장 체제의 신세계가 본격적인 색깔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세계백화점은 2022년 매출 12조4939억 원에서 2023년 11조1322억 원, 지난해 11조4974억 원으로 정체 상태를 이어왔다. 온라인 강화, 신사업이 매출 둔화를 극복하고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카드가 될지 주목된다.

향후 신세계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라이프스타일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정유경 회장의 미적 감각과 프리미엄 전략은 핵심 고객층 공략에 강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SSG닷컴이 중심이었던 온라인 사업이 이제 신세계백화점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는 모습"이라며 "쇼핑과 여행을 결합한 새로운 시도가 얼마나 프리미엄 고객층을 끌어들일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mkyo@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