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생활에 밀접한 버스 와이파이 정상 가동이 위기에 봉착했다. 정부가 내년 20% 가량 감축한 버스와이파이 예산을 국회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 감축으로 버스 와이파이 9000여개가 운영 중단될 위기에 놓이면서 대책 마련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산업계와 이용자로부터 나오고 있다.
1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획재정부는 2026년 버스 와이파이 예산을 올해(69억8100만원) 대비 약 20% 삭감한 55억8500만원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버스 와이파이는 2018년 시작된 대표적 통신 보편서비스 사업이다. 정부는 2018년~2020년 전국 시내버스 2만9100대에 LTE 기반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완료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와이파이 데이터를 수집해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백홀 구간을 5G로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 올해에는 버스 와이파이 공유기(AP)를 최신 사양인 와이파이7으로 업그레이드했다.
버스 와이파이 5G 전환은 이재명 대통령의 2022년 대선 공약이었다.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대표 민생 사업으로 추진됐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공공 와이파이 중 가장 이용률이 높은 서비스가 버스 와이파이로 나타났다. 버스 와이파이 공유기(AP)당 월평균 데이터트래픽은 2021년 61GB에서 2025년 189GB로 성장했다. 특히 학생, 고령층 등 데이터 민감 이용자층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같이 대표적인 디지털복지 사업으로 자리잡은 버스 와이파이에 대해 정부가 약 20% 삭감된 예산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내년 운영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버스 와이파이는 이동통신사가 버스 내에 설비를 구축하고 통신을 제공하며, 과기정통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월 운영비용 4만2000원을 1대1 분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예산 추계로 볼 때 운영 비용이 낮아지면, 농어촌지역 등 트래픽이 많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체 2만9000개 공유기의 약 30%에 해당하는 9000개 버스의 운영을 중지해야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가격이 낮은 중국산 장비 등으로 장비를 대체해 비용을 아껴야 한다. 동일수량에 국산장비로 요구할 경우 국산장비업체의 납품 비용을 30% 낮춰야 한다. 피해는 고스란이 중소기업에게 전가될 것으로 산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실제 운영수요를 감안하면 약 85억원 규모 예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버스 와이파이 사업은 민간이 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부가 메꿔주며 디지털복지를 실현하는 사업이었다”며 “정보통신기술(ICT) 기금 부족 등 어려운 상황이 있지만, 디지털 복지를 중시하는 이재명 정부 기조와 이용자 편의를 고려해 버스 와이파이를 반드시 유지·확대해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사설] 버스 와이파이는 서민통신이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8/news-a.v1.20251118.9f200479eb6c4ca5a1e7ae6c6d94af39_T1.jpg)
![[포토] 버스 와이파이 예산안 감축](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8/news-p.v1.20251118.e58f5d15c37b4108bdf04e22882b15dd_P1.jpg)

![‘역대 최대’라던 공공주택 인허가, 실제 공급률은 70% 그칠 듯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FBZLC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