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스마트공장 생태계의 핵심축인 '공급기업' 육성에 착수했다. 자동화 장비, IT·인공지능(AI) 솔루션 등을 공급하는 민간 기업을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으로 체계화하고, 지원 확대와 제도 정비에 나섰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산하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통해 '스마트제조산업 육성 법제화 방안'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이와 별도로 산업연구원을 통한 정책연구도 진행 중이다. 핵심은 스마트공장 확대에 필요한 솔루션과 장비 제공 민간 공급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법적 기반 구축이다.
이는 최근 중기부가 발표된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 결과와도 맞물린다. 관련 조사에 따르면 국내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약 16만개) 가운데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비율은 19.5%에 불과하며, 그 중 75.5%는 여전히 '기초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AI 기반 제조기술을 도입한 기업은 전체의 0.1%에 불과해, 공급 기반의 혁신 생태계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IT, AI 기술은 대부분의 중소 제조기업이 자체 인력을 통해 소화하기 어렵고, 자연스럽게 외부 공급기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스마트공장 확산을 이어가기 위해선 이들 공급기업을 별도 산업군으로 인정하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육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중기부가 육성하려는 공급기업은 자동화 장비, 로봇, IoT 센서, AI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공장을 구성하는 기술을 개발·설치·운영하는 기업을 말한다. 정부는 이들을 '스마트제조 전문기업(가칭)'으로 지정하고, 기술력과 역량에 따라 R&D 지원, 보급사업, 해외 진출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과정에서 △스마트제조 공급기업의 개념 및 자격 요건 정립 △'스마트제조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 및 하위법령 마련 △부처 간 역할 조정과 기존 법률과의 차별성 확보 △공급기업 대상 R&D·보급사업 통합 전략 △전담 지원조직 구성 필요성 등이 집중 검토된다.
중기부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입법안을 마련해 법제화에 나설 계획이며, 이후 공급기업 대상 인증제·지정제와 맞춤형 지원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동남아시아 등 스마트공장 수요가 높은 해외 시장 진출도 주요 전략 중 하나로 염두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수요기업 중심의 지원이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공급기업의 전문화를 통해 스마트제조 생태계의 양축을 균형 있게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