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의 필수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건설이 늘면서 전력 수요 역시 폭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최근 급등한 전기요금을 두고 빅테크(거대 기술기업)가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무소속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과 민주당 소속 상원의원들이 백악관에 데이터센터가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 등을 묻는 서한을 발송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메타와 알파벳·오픈AI·오라클 등 전국적으로 데이터센터 건설을 주도하는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을 비판하면서 “미국 가정이 실내 전등을 켜기 위해 수조 달러 규모의 기업들과 경쟁하는 상황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I 데이터센터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촉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에너지 비용을 50% 인하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미 노동부에 따르면 9월 미국 가정의 전기요금은 전년 대비 5.1% 상승했다. 이는 상호관세로 고물가에 시달리는 미국인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국에너지보조국협회(NEADA)는 올해 전기요금 체납으로 인한 단전 사례가 400만 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3년보다 33% 증가한 수치다. WSJ는 “데이터센터가 급증하면서 일부 지역의 전력 수요가 크게 늘었고 노후 발전소 폐쇄 지연과 신규 발전 설비 확충이 지연되면서 공급 부담이 커졌다”고 요금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문제는 이제 시작이라는 점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30년까지 미국과 중국의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증가량은 전 세계 전력 소비 증가량의 약 8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미국은 5년 뒤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이 606TWh에 달하며 세계 최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도 트럼프 행정부가 AI 산업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IT 기업에 각종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시민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실제 전기료 급등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은 최근 뉴저지와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한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서한에 연명한 리처드 블루먼솔(코네티컷) 상원의원은 “데이터센터 건설을 막겠다는 것이 아니라 초대형 IT 기업들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취지”라며 “전기요금은 지금보다 낮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고] 배달수수료상한제 규제보다는 시장 매커니즘에 맡겨야](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1/news-p.v1.20251021.94296f400ba54325b1afb024dd3fef25_P3.jpg)
![[사설] 日 대기업도 법인세 인하, 韓은 증세·규제·옥죄기법 ‘올가미’](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U3VMP5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