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너지 협력 위해 정책 간담회 개최
AI 산업 전력수요 증가와 협력 필요성
AI 활용 탄소중립 실현 위한 전력정책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글로벌 인공지능(AI)·에너지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기후부는 이호현 제2차관과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이 서울 중구에서 정책 간담회를 열고 다양한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계기로 엔비디아의 첨단 그래픽저장장치(GPU) 26만장을 확보하는 등 민·관의 AI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는 가운데, AI 산업 발전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와 글로벌 협력 강화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최근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추진된 UAE 스타게이트 참여, 블랙록과의 업무협약(MOU) 등 글로벌 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협력 방향을 점검했다.
양 부처는 AI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 AI 데이터센터 구축·확산, 전력공급 안정화 등 주요 정책 과제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력이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만큼, 비수도권 이전 촉진과 분산에너지 특구 활성화, 전력수요 점검, 관련 규제 개선, 글로벌 협력 강화 등의 방안을 함께 검토했다.
류 차관은 "AI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라며 "AI 인프라 구축과 함께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두 부처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면서도 AI 데이터센터 등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안정적 전력공급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양 부처는 앞으로도 실무급부터 차관급까지 다양한 소통채널을 통해 정책 협력을 강화하고, 조속히 업계가 참여하는 공동 AI·에너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계획이다.
lahbj11@newspim.com







![[단독]“SMR·그린수소 차세대 에너지 띄운다”…초혁신경제 3차 계획, 다음주 발표](https://newsimg.sedaily.com/2025/11/21/2H0JH1I2X1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