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노조 "청년 갈아쓰는 노동 환경 개선부터"…정년 연장에 세대간 '온도차'

2025-11-08

한국노총 여의도·민노총 동대문서 전국노동자대회

MZ "비정규직 확대·정규직 축소 등 일자리 질 악화"

5060세대 "임금피크제 도입 필요…정년연장 불가피"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정년 연장을 두고 세대 간 온도 차이가 양대 노총 집회 현장에서도 나타났다. 양대 노총은 올해 안에 법정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정부에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선배 조합원들은 고령화에 따른 생계 유지를 위해 정년 연장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노동계는 세대별 조합원들 사이 의견 차이에 정년 연장과 함께 임금 피크제와 같은 다양한 대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국내 최대 양대 노동조합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8일 오후 '전국 노동자 대회'를 각각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에서 개최했다. 집회 신고 인원은 각각 5만 명씩 총 10만 명이다.

한국노총은 '2025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를 이날 오후 2시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오후 12시 30분 무대가 있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마포대교 남단에 조합원이 몰려 여의도역까지 약 670m 거리까지 파란 조끼를 입은 이들이 가득 찼다. 중장년층뿐 아니라 장애인과 아동, 청년 등 다양한 이들이 자리했다.

정년 연장에 앞서 노동자의 근로 여건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김지수 씨(36·남)는 "청년 다수를 지속적으로 인턴과 프리랜서와 같은 비정규직으로만 채용하면서 우리들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며 "아랫단의 근로 조건부터 바꾸어야 하는데, 정규직에 있는 윗단의 근로 기간부터 손보는 등 순서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정규직은 늘고 있고, 정규직은 고용 인원이 줄었다"며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 개선과 정규직 확대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선배 조합원 중에는 청년 세대들의 고충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래원 씨(57·남)는 "정년 연장이 청년들에게 반발을 사고 있는 것을 알고 있고, 차선 혹은 차악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고령화 사회에서는 갈 수밖에 없는 길"이라며 "노후 준비가 개별로 잘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복지국가이지도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가명을 요청한 한 60대 조합원은 임금 피크제를 제안했다. 임금 피크제는 일정 연령 이후 임금을 점진적으로 낮추면서 근로자의 고용을 유지하는 제도다. 정년 연장과 연계하면, 임금 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인건비 부담을 줄이면서 근로자의 정년을 늘릴 수 있다.

그는 "지부마다 의견이 다르겠지만, 기득권을 그대로 연장하기보다는 이 중 반 정도를 내려놓는 안으로 급여를 유지하기보다는 일부를 나누어 젋은 애들도 올라갈 수 있도록 해주는 임금 피크제 도입이 필수"라며 "이렇게 해야 MZ들도 우리 사회의 허리 세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의료계열 근로자인 지혜연 씨(29·여)는 임금 피크제만으로는 정년 연장의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았다. 그는"위에서 한정된 임금을 떼어 준다고 해서 몸을 갈아 넣는 기존의 근로 문화가 개선되지 않고서는 청년의 노동은 싼값에 부려 먹는 맛"이라며 "의정 갈등 시기 죽을 힘을 다해 자리를 지켰는데, 사람이 없어도 돌아간다고 생각하고 경영진이 사람은은 더 줄이고 비정규직으로 더 뽑으며 청년에게 돌아온 건 1인당 환자 수 증가와 불안한 노동환경이었다"고 토로했다.

이날 양대 노총은 정년 연장 외에도 ▲근무 시간 단축을 위한 주4.5일제 시행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공무원·교원 정치기본권 보장 ▲산재 사고를 줄일 '일하는 사람을 위한 권리 보장법' ▲의료와 돌봄의 공공성 강화 ▲노동기본권 보장과 노조법·근로기준법 개정 ▲미국과 굴욕·종속 외교를 거부 등을 제시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정권의 태도에 흔들리거나 대응 방식에 분노하거나 좌절하는 것으로는 현실을 바꿀 수 없다"며 "노동계의 절박한 요구를 명확하게 관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3시 '전태일열사 정신 계승 2025 전국노동자대회' 연단에 선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정부가 아무리 자화자찬을 해도 한미관세협상이 노동자의 일자리를 빼앗고 노동 현장을 파괴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규직이 비정규직의 손을 잡고, 성별과 인종과 국적의 차이를 넘어 모두가 단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노총은 집회를 마치고 명동역 인근 세종호텔과 을지로2가 인근 서울고용노동청으로 행진을 예고했다.

aaa2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