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액인건비 해결 촉구
"1만2000명 보상휴가 사용 못해"
해결 키 쥔 금융위 압박
부당대출 책임 전가 경영진에 경고도

[디지털포스트(PC사랑)=김호정 기자 ] 기업은행 노동조합이 총액인건비 제도 해결을 촉구하며 경영진과 금융위원회를 향해 마지막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노조는 금융위가 해당 문제를 조속히 결론 내리지 않을 경우 이달말 대규모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업은행 노조는 지난 9일 종로구 금융위원회 맞은편 광화문 일대에서 조합원 2000명이 참석하는 '임단투 필승 및 2차 총파업 성공을 위한 수도권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는 노조가 총액인건비 제도 개선을 요구하며 벌인 네번째 대규모 집회다.
류장희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이날 "가정의 달인 5월이 우리에게는 투쟁의 달이 됐다"며 "경영진은 유례없이 길어진 노사 분규에도 리더십도 문제 해결력도 발휘하지 못하고 정부의 눈치만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금융위를 향해선 "기업은행 총액인건비 예외 문제는 이미 금융위 손으로 넘어갔다"며 "금융위는 당장 경영예산심의위원회를 열어 기업은행 보상휴가를 총액인건비에서 제외하라"고 요구했다.
기업은행 노사는 2024년도 임금 및 단체협상을 두고 6개월간 접점을 찾지 못한 채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기업은행은 다른 시중은행과 동일한 수준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정작 임금은 시중은행 대비 70% 수준만 받는 상황이다. 기업은행은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총액인건비 제도를 적용 받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의 주관 부서는 금융위이지만 인건비 예산은 기획재정부가 매년 설정하는 인상률 상한 이내에서만 책정하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기업은행은 시간 외 근무가 발생하면 수당 대신 휴가로 보상해왔다. 지난해 말 기준 기업은행 직원 1만2619명이 사용하지 못해 누적된 보상휴가 일수는 총 44만2965일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인당 약 35.1일에 해당하며, 수당으로 환산하면 600만원에 이른다.
이날 노조는 결의문을 통해 "금융위와 기재부 그리고 경영진이 회피로 일관할 경우, 추가 파업을 포함해 더욱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며 "어떤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기업은행 자부심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노조는 이달 말에서 다음달 초 사이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기업은행 노조는 지난해 12월 27일 설립 후 첫 단독 파업을 진행했다.
한편, 노조는 올해 초 발생한 882억원의 부당대출 사건에 대해 사측이 재발 방치책으로 제시한 '임직원 친인척 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방안에 대해서 강하게 반발했다.
노조는 "실효성이 없는 강제적 조치로 직원 친인척 DB 구축은 개인정보 침해이고 부당대출사태를 일으킨 경영진 책임을 직원에게 전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합원, 비조합원 여부를 불문하고 전면 거부에 나서겠다"며 "사측이 동의를 강요하거나 인사상 불이익을 암시 및 시도할 경우, 즉각 법률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디지털포스트(PC사랑)’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포스트(PC사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