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개국서 240개 화랑 참여 아시아 최대 페어
아시아화랑 비중 늘고,신규화랑 32개 첫 참가
한국 15개화랑 참가확정,선화랑·더페이지 진입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아시아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인 '아트바젤 홍콩(Art Basel Hong Kong)'의 2026년도 라인업이 발표됐다. 아트바젤측이 18일 공개한 2026 아트바젤 홍콩의 하이라이트 자료에 따르면 페어의 전체 참가화랑수는 41개국 240개 화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대비 거의 비슷한 규모다. 내년 봄에도 아트바젤 홍콩은 홍콩 완차이의 컨벤션&익스비션센터에서 3월 27일 개막해 29일까지 아시아의 원탑 페어를 개최한다. 2026 아트바젤 홍콩에는 유럽과 북미 등지의 글로벌 주요화랑과 아시아 지역의 리딩 갤러리들이 참가한다. 내년에는 아시아에서 참가하는 화랑이 절반을 훨씬 넘어설 예정이다.

특히 한국의 쥬요 화랑들의 약진이 두드러져 모두 15개 한국 갤러리가 참가한다. 이는 2025년 보다 다소 줄어든 수치이긴 하나 몇몇 주요화랑이 새로 진입했다. 기존에 꾸준히 참가해온 국제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PKM갤러리, 리안갤러리, 갤러리바톤, 조현화랑, 학고재갤러리를 비롯해 우손갤러리, 제이슨함, 티나킴갤러리 등이 메인섹터인 '갤러리즈'에 내년에도 부스를 차리고 참가한다.
이들 갤러리들은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받는 작가들의 경쟁력있는 작품을 선보이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 작가 및 작품 선별에 돌입했다. 메인 섹터에 참가하는 우리 화랑들은 한국현대미술의 독특하면서도 경쟁력있는 면모를 국제 무대에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2026년에는 한국 화랑 중 새로운 갤러리가 진입해 관심을 모은다. '디스커버리즈' 섹터에 실린더와 P21갤러리가 참가한다. 또한 한명의 작가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선보이는 '인사이트' 섹터에는 G갤러리와 더페이지갤러리, 선화랑의 참여가 확정됐다. 더페이지 갤러리와 선화랑은 내년에 처음으로 아트바젤 홍콩에 참가하게 됐다.

서울 성수동 서울숲의 더페이지 갤러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의 떠오르는 작가 한진의 페인팅과 영상으로 솔로부스를 꾸민다. 선화랑은 이정지 작가의 깊고 고요한 회화들로 단독부스를 꾸며 역시 '인사이트' 섹터에 참가한다.
이처럼 2026 아트바젤 홍콩은 신진 및 중견 갤러리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확대했고, 특히 아시아 갤러리의 참가 비중을 늘린 것이 특징이다.
2026 아트바젤 홍콩에 처음 출품하는 갤러리는 모두 32개로, 한국을 위시해 호주, 일본, 중화권, 프랑스, 튀르키에, 조지아,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미국 갤러리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전 세계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다 이들 신규 진입하는 화랑들은 자국 미술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신선한 시각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로써 2026 아트바젤 홍콩은 국제적 다양성이 강화될 전망이다.

한편 내년 아트바젤 홍콩에 참가하는 해외 주요화랑 중 유럽에서는 스위스의 하우저앤워스(Hauser&Wirth)와 영국의 화이트큐브(White Cube), 오스트리아의 타데우스로팍(Thaddaeus Ropac), 독일의 스푸르스마거스, 프랑스의 페로탕, 이탈리아의 마시모드카롤로 갤러리 등이 참가한다.
미국의 메이저 갤러리인 가고시안(Gagosian)과 페이스(Pace), 데이비드즈워너(David Zwirner), 글래드스톤(Gladstone) 갤러리가 참가를 확정했다. 아시아에서는 도쿄의 명문화랑 도쿄화랑&BTAP와 Taka Ishii Gallery, 오사카의 Gallery Koyanagi, 싱가포르의 STPI–Creative Workshop&Gallery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 참가화랑은 갤러리에 전속된 주요 작가의 독창적인 회화, 조각,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전시할 계획이다. 이러한 글로벌 갤러리들과 한국 화랑들의 조화는 2026 아트바젤 홍콩의 풍성한 볼거리를 예고하고 있다. 2026년 아트바젤 홍콩은 아시아 미술 시장의 중심에서 국제 미술교류와 새로운 트렌드를 선도하는 중요한 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한국 화랑들의 활발한 참여와 더불어, 신진 갤러리들의 등장으로 더욱 다채롭고 역동적인 전시가 기대되고 있다.
2026 아트바젤 홍콩은 단순한 작품 전시및 판매를 넘어, 아시아와 세계 아트마켓의 교류와 협업을 촉진하는 플랫폼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올해는 '아시아 아티스트의 글로벌 진출'을 주제로 특별 프로그램과 세미나가 마련되며, 한국 작가들의 해외 진출과 아시아 아티스트의 국제적 영향력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2026 아트바젤 홍콩에서는 전세계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한다. 새로운 부문인 '에코즈(Echoes)'는 최대 3명 아티스트의 집중적인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지난 5년간 제작한 작품들에 주목해 데뷔를 유도하게 된다.
대형 설치예술품, 조각, 퍼포먼스에 헌정된 부문인 '인카운터스'는 아시아 기반의 4명의 큐레이터 그룹이 처음으로 큐레이팅을 맡았다. 일본 모리미술관의 카타오카 마미 디렉터를 리더로, 이사벨라 탐, 알리아 스와스티카, 토쿠야마 히로카즈가 그 주인공이다.

이밖에 내년도 아트바젤 홍콩의 영화 프로그램은 개척적인 미디어 아티스트 엘렌 파우가 큐레이터를 맡아 움직이는 이미지와 홍콩의 미디어아트를 깊이있게 소개한다. 토크 프로그램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MACAN 미술관 관장인 비너스 라우 초청 큐레이터가 진행하여 아시아 미술계 전반에 걸친 역동적인 문화 간 대화와 공공 참여를 촉진할 것이다.
신진 아티스트 지원에 전념하는 MGM 디스커버리즈 아트프라이즈는 2026년에도 선정될 예정이다. 수상한 아티스트는 마카오에 초청돼 도시의 풍부한 문화유산에 몰입하고, 지역의 인재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5년 째를 맞는 아트바젤 홍콩과 홍콩의 현대미술관 M+의 협업이 내년에도 이어진다. 아트바젤 홍콩의 타이틀 스폰서인 UBS가 후원하는 M+ 파사드를 활용한 대규모 기념비적인 공공예술작품이 펼쳐진다. 파키스탄계 미국인 아티스트 샤즈아 시칸데르의 '3 to 12 Nautical Miles'이 초대형 미디어캔버스를 장식할 예정이다. 작가가 직접 손으로 그린 수채화로 구성된 빛나는 애니메이션이 뮤지엄 외관을 수놓으며 글로벌 교류를 통한 역사적 현대적 소통 루트를 추적하게 된다.
art2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