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억 투자된 기내 개조, 철회 어려울 듯
소비자 불만 완화할 대안은 결국 '3-3-3'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대한항공의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프리미엄석 배열을 기존 3-3-3 구조로 되돌리는 타협안이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일반석(이코노미)과 비즈니스석(프레스티지) 사이의 중간 등급 좌석인 '프리미엄석(프리미엄 이코노미)'을 신설하고 오는 17일부터 인천~싱가포르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 <[단독] 대한항공, '3000억 투자' 프리미엄석 돌연 예매 중단, 2025년09월01일 뉴스핌 보도 참조>

대상 기종은 B777-300ER 11대로, 이 중 1호기는 이미 개조를 거의 마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프리미엄석 도입 과정에서 일반석 좌석 폭이 기존 18인치에서 17인치로 줄어드는 것이 알려지자 소비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좌석 공간은 축소됐지만 일반석 요금은 그대로 유지되고, 프리미엄석 요금은 일반석보다 약 1.8배 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이어서 형평성 논란까지 불거진 상황이다.
논란의 중심은 좌석 배열 변경이다. 대한항공은 프리미엄석 설치를 위해 기존 3-3-3 구조에서 3-4-3 구조로 좌석 배열을 바꾸면서 일반석 좌석 폭 축소가 불가피하게 됐다. 한 줄당 좌석 수가 9개에서 10개로 늘어나면서 개별 좌석 공간이 줄어든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우려를 표명했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는 최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소비자 편익 저하 우려가 제기되는 사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합병 승인 조건에 '소비자 후생 저하 방지' 조항이 포함된 만큼 좌석 축소가 이 조건을 위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논란이 확산되자 대한항공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해당 노선 좌석 판매를 일시 중단했다가 최근 재개했다.
다만, 항공업계에서는 대한항공이 계획을 완전히 포기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이미 3000억원 규모의 기내 개조 투자가 진행된 상황에서 손실을 감수하고 철회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글로벌 항공사들의 새로운 트렌드인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도입을 포기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신 업계에서는 이코노미석 좌석 배열을 3-4-3에서 3-3-3으로 다시 조정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 논란의 핵심이 좌석 폭은 줄어들었는데도 요금은 그대로라는 점인 만큼, 좌석 배치를 기존 구조로 되돌린다면 소비자 불만을 완화하고 정부 조건에도 부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프리미엄석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는 다소 제약을 받을 수 있지만, 일반석 승객의 편의성은 기존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3-4-3 배열을 추진하려면 이코노미석 요금을 내려야 할텐데, 요금 인하는 기업입장에서 부담이 크다"며 "좌석 배열을 다시 3-3-3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조정한다면 소비자 불만을 완화하면서 정부도 일정 부분 수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대한항공 내부에서도 좌석 배열 재조정을 포함한 다양한 대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리미엄석 도입이라는 목표를 유지하면서도 기존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프리미엄석 개조 진행 중인 B777-300ER 11대 중 1호기의 기내환경 개선작업은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며 "잔여 10대에 대한 개선작업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 중으로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