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농업인들은 인공지능(AI) 비서인 ‘AI 이삭이’를 활용해 1년 농사 계획과 당일의 농작업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AI 기반 인식 기능과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해 파종부터 수확까지 전 과정을 기계화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마련된다.
농촌진흥청은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농업과학기술 AI 융합 전략’을 발표했다. 이승돈 농진청장은 “농업을 전통적인 경험 의존 산업에서 데이터·AI 기반의 지능형 산업으로 전환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수립했다”며 “농가 수입 20% 향상, 농작업 위험 20%경감, 개발보급 기간 30% 목표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우선 농진청은 대국민 AI 비서인 ‘AI 이삭이’를 확대 보급할 방침이다. 올해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AI 이삭이’ 활용 농가를 1000개까지 확대하고, 이후 원하는 모든 농가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농업인들이 연간 농사 계획과 당일 작업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농가소득 조사 자료를 학습한 생성형 AI가 경영상태를 분석하고 맞춤형 해법을 제공해 농가 경영비를 5% 절감하도록 지원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위험과 수급 불안정 대응에도 AI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AI 병해충 진단 해법을 고도화해 2029년까지 82개 작물, 744개 병해충을 신속 진단할 수 있게 된다. 해충 이동 경로를 예측해 적기 방제를 지원하고, 이상기상 조기경보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는 등 재해 위험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농촌의 재해 대응과 복지 강화에도 AI를 활용한다. 농기계사고 발생 시 119 자동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근력 보조 웨어러블 슈트 등 스마트 편이 안전 기술을 개발해 보급한다. 주요 작물의 육종은 데이터 기반 디지털 육종으로 전환하고, 농식품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산업 육성도 지원한다.
AI 기반의 인식 지능과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해 농작업 자동화도 구현한다. 장기적으로는 고숙련 농작업까지 사람이 대체할 수 있도록 AI 기반 스마트 농기계와 통합 관제 시스템을 2029년까지 개발한다.
고령층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농촌의 현실을 고려해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확충한다. 농업기술센터의 역량을 강화해 센터 담당자가 ‘AI 이삭이’를 활용한 경영진단과 기술 컨설팅을 농업인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농업인이 AI를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전달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이 청장은 “AI 시대에는 기술 개발 자체도 중요하지만 기술을 현장에서 잘 활용해 효율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일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며 “농업과학기술과 AI 융합을 통해 농업인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고 국가 농업의 대전환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사설] 全공무원 AI, 행정 효율 극대화해야](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9/news-a.v1.20251119.9c43fc8a90124948a78307a79c1a0514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