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이유린 기자) 보험개발원이 지난 12일 FKI 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2025 KIDI 보험미래포럼’을 열어, 미국 보험감독자협의회(NAIC), 아마존웹서비스, IBM, 밀리만 등 글로벌 보험업계 AI 혁신 전문가들과 함께 보험산업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포럼에서는 보험산업에서 AI활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은 비용 절감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와 함께 데이터 편향을 줄이고, 결국 ‘인간의 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향후 과제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허창원 보험개발원 원장은 개회사에서 “생성형 AI가 챗봇과 가상상담을 통해 상담 품질 향상과 고객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 있지만, 동시에 데이터 윤리·개인정보 보호·책임성 확보 등에 대한 논의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조강연에서 NAIC의 데이터 분석 총괄역 ‘도로시 앤드류’는 AI모델의 오류 최소화를 위한 규제당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AI기술의 윤리적이고 투명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인간의 감독과 AI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 보험사가 기존 고객 정보만 활용해 발생하는 ‘선택 편향’ 문제를 지적하며, 편향 완화를 위해서도 거버넌스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첫 주제발표에 나선 양경희 보험개발원 데이터신성장실 실장은 ‘AI시대, Data로 만드는 새로운 가치’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보험산업의 성장동력은 결국 데이터에서 나오고, 원시 데이터가 인사이트로 전환되려면 데이터 전 주기에서 가치를 단계적으로 창출하는 ‘데이터 가치 사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이터 가치 사슬은 데이터 수집-분석-활용-재생산 과정의 반복이다.
테리 부크너 아마존 보험 코어시스템 리더는 ‘보험 코어 시스템 현대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보험사들이 이미 나온 기술조차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과 지나치게 보수적인 산업 특성을 지적했다. 이어 “디지털 기술 도입에서는 빠르게 배우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패스트 런(fast learn)’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현대화 된 코어 시스템 구축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발표에서는 생성형 AI기반 콜센터 활용 사례도 소개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이를 통해 ▲트레이닝 프로세스 가속화 ▲교육시간 절감 ▲ 이직률 하락 등의 효과가 있었다.
IBM의 크리스챤 비엑은 ‘AI 시대, 보험산업의 미래와 전략’을 주제로 AI 활용의 현주소를 진단했다. 그는 현재 보험업계가 AI를 주로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 활용하고 있으며, 생성형 AI는 의사결정을 보완·지원하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탐 프린스 밀리만 생성형 AI센터 설립멤버는 ‘보험사의 생성형 AI 도입 성공을 위한 실무가이드’를 주제로 발표했다. 운영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AI 챗봇 사례를 소개하며, 보험업계가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는 아니지만 지나치게 늦어지면 기본 모델조차 파악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AI는 강력하지만, 그 책임은 결국 사람이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소정 좌장은 이번 포럼을 마무리하며 ‘휴먼 인 더 루프(Human-in-the-Loop, HITL)’를 핵심 교훈으로 꼽았다. AI가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더라도, 인간의 개입과 책임이 결합될 때 보험산업의 혁신은 안전하게 완성될 수 있다는 메시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