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존중과 절제 담은 ‘사찰음식’…국가무형유산 됐다

2025-05-19

한국의 ‘사찰음식’이 국가유산이 됐다. 불교의 가르침이 깃든 사찰음식은 ‘건강’과 ‘채식(비건)’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되는 사찰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승려들이 일상에서 먹는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모두 포함한다.

사찰음식은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한 이후 오랜 기간 한국의 음식문화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다.

고려시대 문헌인 ‘동국이상국집’과 ‘조계진각국사어록’에는 채식 만두와 산갓김치 등 사찰 음식과 관련한 기록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는 사찰이 두부·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 공급처 역할을 한 기록이 ‘묵재일기’와 ‘산중일기’에 담겨 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며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해져오고 있지만, 우리나라 사찰음식만의 공통된 특징은 있다.

먼저 육류와 생선, 오신채(五辛菜, 마늘·파·부추·달래·흥거 등 자극적인 5가지 채소)를 쓰지 않고 채식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이다. 이는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는 불교의 불살생 원칙과 생명 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한 것이다.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조리하는 방식과 지역에서 구하기 쉬운 식재료로 향토성을 더했다는 것도 우리나라 사찰음식만의 특징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발효식품이 면역력 증진에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채식과 발효식품을 핵심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찰음식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도 높아졌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다른 국가와 차별점을 갖춘 우리나라 사찰음식은 현재도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며 “전통적인 조리법을 유지하면서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등 영역을 확장해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국가무형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사찰음식은 승려를 중심으로 사찰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전승 체계를 이룬다는 점을 고려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됐다.

권나연 기자 kny0621@nongmin.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